생활체육 좀먹는 ‘체육관 브로커’

생활체육 좀먹는 ‘체육관 브로커’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6-09-07 22:42
업데이트 2016-09-08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에게 개방한 학교 체육관, 싼값에 ‘사재기식 장기 대관’… 불법 강습 등 악용

“동호회에서 학교 체육관을 빌리려고 하면 이미 장기 대관이 돼 있는 거예요. 실제 찾아갔더니 영리 강습도 하고 있었죠. 소위 학교 체육관 ‘브로커’ 때문에 정작 생활 스포츠를 즐기려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고 있는 겁니다.”

이미지 확대
●8만원에 빌려 ‘1인당 8만원’ 강습

7일 만난 김모(45)씨는 최근 영리 대관 사실이 드러나 지난달부터 서울 강남의 한 중학교에서 체육관 대관이 취소된 ‘온라인 농구 카페’에 대해 설명했다. 회원 수가 20만명이 넘는 이 온라인 카페는 1년간 매주 월요일 2시간씩 체육관을 빌렸다. 대관료는 8만원이었지만 이곳에서 농구를 배울 회원들을 15~20명 모집해 1인당 8만원의 강습료를 받아 챙겼다. 이 온라인 카페는 서울·경기 지역의 학교 체육관 여러 곳을 빌려 같은 식의 영업을 했다.

시민들이 저렴하게 체육을 즐길 수 있도록 개방된 초·중·고교 체육관을 대규모로 선점하고 영리 목적으로 재사용하는 대형 동아리 운영자와 브로커들 때문에 생활 스포츠를 즐기려는 일반 시민들이 갈 곳을 잃고 있다. 안 그래도 사고 위험 때문에 대관을 해 주는 학교가 적은데, 이들의 독점까지 겹치면서 운동장 빌리기가 말 그대로 ‘하늘의 별 따기’가 된 셈이다.

●일부 허위 서류로 운동장 선점도

사회인 야구동호회의 경우 아예 학교 야구장 대관을 선점하는 사설리그 운영자가 없으면 경기를 진행할 수조차 없다고 입을 모았다. 직장인 야구동호회에 참여하는 홍모(33)씨는 “팀당 연 250만~300만원을 내면 통상 10경기 정도를 할 수 있다”며 “경쟁이 심하다 보니 구청장을 사칭해 허위 서류로 운동장을 선점하는 경우까지 있다”고 말했다.

서울 중구의 한 농구 모임에서 총무를 맡고 있는 강모(23)씨는 “올해 3월에 학교 체육관을 빌리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학교 30~40곳에 문의하며 찾아 헤맸다”면서 “학교의 대관 여부라도 교육청에서 일괄 공시해 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상당수 학교 안전 등 이유 대관 꺼려

대관을 꺼리는 학교 측은 안전 문제가 가장 큰 이유라고 했다. 시설물 대관을 하지 않는 서울의 한 공립중학교 관계자는 “시설 유지도 번거롭고 외부인이 교내에 드나드는 걸 달가워하지 않는 학부모들도 있다”고 말했다. 교육청은 학교 시설물 대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학교장 권한이라 ‘대관 허용’을 강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종교 등 외부 행사로 학교 체육관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도 있다. 서울 강남구의 농구 모임 회원 양모(28)씨는 “지난 3월부터 서초구의 한 고등학교 체육관을 1년간 매주 토요일에 빌리기로 했는데 4월부터 인근 교회에서 일요일마다 이 체육관을 빌려 예배를 보기로 했다”며 “결국 일요일에 운동하던 팀들도 토요일로 옮겨서 재추첨을 했고 그 결과 떨어져 재양도하는 곳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희 수원여대 레저스포츠학과 교수는 “우리나라는 주거 집단에 비해 사용할 수 있는 생활 스포츠 시설이 지극히 부족한 상태”라며 “학교는 지역사회 주민들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책임이 있기 때문에 시설물을 시민들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6-09-08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