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절반만 넣고도 짠맛은 그대로

소금 절반만 넣고도 짠맛은 그대로

입력 2015-10-07 15:29
업데이트 2015-10-07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계명대 정용진 교수, 콩 발효 과정서 천연 염미물질 발견

이미지 확대
 계명대 식품가공학전공 정용진(사진 53) 교수는 소금의 나트륨 함량을 줄이면서 짠맛은 그대로 유지하는 물질을 발견해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계명대는 30년간 발효 식품을 연구해온 정 교수가 콩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천연물 염미성 펩타이드’를 발견하고 2004년부터 꾸준히 연구 개발해 상용화 단계에 이르렀다고 7일 밝혔다.

 이 물질은 소금의 나트륨 함량을 25∼50% 낮추면서도 짠맛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정 교수는 설명했다. 경북지역 장류업체, 김치제조업체 등은 정 교수의 나트륨 저감 기술로 나트륨 함량을 25% 이상 낮춘 시제품을 생산한 데 이어 대량 생산을 위한 제품화를 추진하고 있다. 경북 칠곡군 전통장류업체 태장고와 경북 고령군 식품업체 알알이 식품에서 시험 생산한 간장, 된장의 경우 나트륨 함량을 획기적으로 줄여도 상품성에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도 수출전략 발효사업단 단장이기도 한 정 교수는 “상용화할 수 있는 소금 대체재가 없는 상황에서 천연물 염미성 펩타이드는 저염도 식품, 환자용 식이 식품 분야에서 시장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