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공포] 손님 절반 뚝

[메르스 공포] 손님 절반 뚝

입력 2015-06-05 00:06
수정 2015-06-05 0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인천 부평지하상가 패닉… 큰손 유커도 자취 감춰… 상인들 “정부 도대체 뭐 하고 있나” 분통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환자가 인천 병원으로 이송됐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손님이 40% 이상 줄었습니다.” 인천 부평지하상가에서 아동옷을 파는 이모(38·여)씨는 4일 매장을 찾은 기자에게 “장사가 안돼 죽겠으니 다른 데로 가 물어보라”며 하소연하듯 말했다.
이미지 확대
썰렁한 백화점
썰렁한 백화점 4일 메르스 확진 환자 36명, 격리자가 1667명으로 늘어난 가운데 서울의 한 백화점이 썰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국내 최대의 지하상가인 부평지하상가(3만 2311㎡)의 상인들은 메르스 직격탄에 심리적 공황 상태다. 지하에 들어선 1408개 점포는 3~7평 규모인 데다 통로도 3m에 불과해 사람 간 간격이 좁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내국인뿐 아니라 중국인 관광객(유커)들의 발길이 뜸해졌으며 방문객 일부는 마스크를 썼다.

상인들은 “손님이 최소한 40∼50%는 줄어들었다”고 입을 모은다. 대신 지하상가 입구의 약국에는 마스크를 사려는 사람들이 줄을 잇더니 이내 ‘마스크가 품절돼 오후에 입고된다’는 안내문이 붙었다.

화장품을 파는 박모(32·여)씨는 “지난해 인천아시안게임 이후 부평이 뜨고 있는데 메르스가 찬물을 끼얹었다”면서 “메르스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모른다는 게 더 걱정”이라고 했다. 일부 점포는 아예 오후에야 문을 열었다. 옆 가게 주인은 “대개 오전 10시 전에 개장하는데 장사가 안되니까 문을 열기 싫은 모양”이라며 웃었다. 신발 가게 주인은 “정부가 뭐 하나 제대로 하는 일이 없다”며 불만을 토로했다.

평소 왁자하던 중국말도 들리지 않았다. 메르스 파동이 일기 전 이곳 이용객은 평일 15만명, 주말 20만∼30만명에 달했는데 이 중 10∼20%는 유커였다. 의류, 화장품, 전자제품 등을 통 크게 사들여 상권을 활성화하는 데 공이 컸던 유커들은 메르스 소식과 함께 자취를 감췄다.

상가연합회는 비상이 걸렸다. 연합회는 인천시설관리공단에 대책을 요구했지만 시원한 답이 돌아오지 않자 안절부절이다. 연합회 관계자는 “메르스 문제는 관리 주체가 적극적으로 대처해도 될까 말까 한데 알쏭달쏭한 말만 되풀이해 언성을 높이기도 했다”고 말했다. 연합회는 자체적으로 상가 출입구에서 마스크와 세정제를 나눠 주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인천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5-06-0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