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재수사… “몸통은 총리실 차장”

3개월 재수사… “몸통은 총리실 차장”

입력 2012-06-14 00:00
업데이트 2012-06-1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검찰, 민간인 불법사찰 박영준 추가기소로 ‘종결’

검찰은 지난 4월 1일 “사즉생(死卽生)의 각오로 성역 없는 수사를 하겠다.”고 천명했다.

이미지 확대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브리핑실에서 송찬엽 서울중앙지검 1차장검사가 민간인 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과 관련한 재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seoul.co.kr
13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 브리핑실에서 송찬엽 서울중앙지검 1차장검사가 민간인 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과 관련한 재수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호정기자 hojeon@seoul.co.kr


3월 16일 거센 여론에 떠밀려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에 대한 재수사에 돌입한 뒤 수사 의지를 밝힌 것이다. 그러나 검찰은 3개월간의 수사에서 성역을 넘지 못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부지 매입 의혹에 이어 민간인 불법사찰 과정의 청와대 개입 의혹을 명쾌하게 규명하지 못한 채 수사가 종결된 것이다. 이미 다 알려진 대로 불법사찰의 비선(秘線) 배후는 박영준(52) 전 총리실 국무차장, 증거인멸 몸통은 이영호(48·구속 기소)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이라고 선을 그었다. 윗선의 실체가 없다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불법사찰 문제가 불거지고 증거인멸이 이뤄졌을 당시 민정수석이던 권재진 법무부 장관과 정정길·임태희 전 대통령실장 등은 제대로 조사조차 하지 않은 채 “관련 없다.”고 못 박았다. 권 장관은 검찰이 요청하지도 않은 진술서를 보내 “불법사찰과 증거인멸을 알지 못했다.”고 부인했다. 정 전 실장은 “업무 내용을 보고 받은 사실이 없다.”고 서면 답변서에 썼다.

이 전 비서관도 “청와대 수석이나 대통령실장 등에게 보고하지 않았다.”고 진술했다. 윗선으로 가는 연결고리가 이 전 비서관에서 끊긴 것이다. 장진수(39) 전 지원관실 주무관에게 건네진 ‘관봉(官封) 5000만원’ 등 입막음용으로 의심되는 돈의 출처도 찾지 못했다.

정치권은 ‘봐주기 수사, 부실 수사, 면죄부 수사’ 등의 비판을 쏟아내며 특별검사나 국정조사 도입을 벼르고 있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은 13일 불법사찰을 지시한 박 전 차장과 증거인멸을 주도한 이 전 비서관을 포함해 5명을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및 증거인멸 교사 등의 혐의로 기소하는 내용을 담은 재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박 전 국무차장의 불법사찰 지시 혐의는 ‘큰집’인 대검 중수부가 밝혀냈다. 이 전 비서관은 검찰 수사에 앞서 증거인멸의 몸통을 자처했다. 특별수사팀은 사건 관련자들의 해명을 듣는 데 열중했고, 그대로 인정했다.

‘관봉 5000만원’이 대표적이다. 류충렬(56)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이 지난해 4월 장석명(48) 청와대 공직기강비서관이 마련한 것이라며 장 전 주무관에게 입막음용으로 건넸다는 돈으로, 송찬엽 서울중앙지검 1차장 검사는 “지난해 4월 무렵 특정 금융기관에서 5000만원 이상을 찾은 2000명을 추적했지만 장 전 주무관의 주장을 뒤집을 단서를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수사 결과와 관련, 박정하 대변인 명의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청와대에서 근무했던 사람들이 관련됐다는 점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송구한 심정”이라고 밝혔다. 민주통합당 ‘MB-새누리정권 부정부패 청산 국민위원회’는 이날 권 장관 해임을 촉구한 뒤 “민간인 불법 사찰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누리당도 국정조사나 특검 도입에 긍정적이어서 재수사를 통해서도 밝혀지지 않은 모든 의혹이 또 한 번 검증 무대에 오를 전망이다.

김승훈·황비웅·홍인기기자

hunnam@seoul.co.kr

2012-06-14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