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접촉] 南 “도발 사과 먼저” 北 “대북 방송 중단”… 대화 해결엔 공감

[남북 고위급 접촉] 南 “도발 사과 먼저” 北 “대북 방송 중단”… 대화 해결엔 공감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15-08-24 00:08
업데이트 2015-08-24 00: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위급 접촉 ‘무박 3일’ 마라톤협상

남북 고위급이 연사흘(22~24일) 마라톤협상을 이어갔다. 첫날 회담에 이어 거의 밤을 새우다시피 하며 이틀 연속 진행된 탓에 사실상 ‘무박 3일’의 고단한 협상이었다.
이미지 확대
해병대, 연평도 철통 경계
해병대, 연평도 철통 경계 북한의 포격 도발로 긴장이 한껏 고조된 가운데 23일 해병대원들이 인천 옹진군 연평도 해안을 순찰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접촉은 북측의 전격적인 회담 제의에 우리가 호응하면서 이뤄졌다. 지난 21일 전격적인 북측의 대화 제의에 우리 측이 수정 제의를 하면서 분위기는 긴박하게 흘렀다. 22일 “황병서 총정치국장이 나오라”는 우리 측의 수정 제의에 북측이 ‘김관진 청와대 국가 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 대(對) 황 총정치국장과 김양건 당 대남비서’ 간 ‘2+2 회담’을 제안하면서 극적으로 고위급 접촉이 성사됐다. 22일 오후 6시 30분 시작된 고위급 접촉은 정회와 속개를 반복하며 다음날(23일) 새벽 4시 15분까지 10시간 가까이 이어졌다. 양측은 사태 해결과 관련한 최종 합의를 도출하지 못하자 일단 정회한 상태에서 서로 입장을 검토한 뒤 23일 오후 3시에 고위급 접촉을 재개키로 했다. 이후 약 11시간 동안 양측은 협상 내용을 상부에 보고하고 상대방의 주장을 수용할지를 숙의한 뒤 이날 오후 3시 30분쯤 협상을 재개했다. 그러나 전날과 마찬가지로 지루한 공방이 계속되면서 24일 새벽을 맞이했다.

양측은 사흘간의 협상에서 현안마다 대립하며 주장과 반박, 재반박을 이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북측이 요구한 최고존엄에 대한 모든 적대행위 중단에 대해 우리 측이 조목조목 반박하며 긴박하게 흘렀던 것으로 전해졌다. 북측이 민감하게 반응한 대북심리방송 중단 요구에 대해 우리는 북측의 도발에 따른 사과와 재발방지 약속이 있어야 한다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다.

북측은 한·미 군사훈련 중단과 대북적대시 정책인 5·24조치 해제와 금강산 관광 재개 등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남측은 5·24조치는 북측의 천안함 폭침·연평도 포격으로 발생한 대북제재 조치인 만큼 책임 있는 사과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측은 격론을 벌이는 와중에도 민족 간 동질성 회복 및 민간교류에 대해서는 유연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의 필요성에 공감했지만 각론에서 북측은 금강산 관광 재개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전반적으로 한반도 긴장 상황에 대해서는 현격한 견해차를 드러냈지만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자는 데 공감했다. 사흘간의 회담 내내 회담장 밖에서는 양측이 공동합의서를 채택할 수 있을지가 초미의 관심을 끌었다.

한편 고위급 접촉이 길어지면서 홍 장관은 24일 예정돼 있던 찰스 랭글 미국 하원의원과의 면담도 취소했다. 대신 황부기 차관이 일정을 소화하기로 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5-08-24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