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고위급 접촉] 中 ‘남·북 중재 카드’ 못 내놓고 속앓이

[남북 고위급 접촉] 中 ‘남·북 중재 카드’ 못 내놓고 속앓이

이창구 기자
이창구 기자
입력 2015-08-23 23:58
업데이트 2015-08-2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열병식 앞두고 위기 조장 北에 불쾌감…한·미 밀착 상황 北 자제 촉구도 못 해

남북한의 충돌 위기가 이어지면서 중국이 중재자로 나설 뜻을 밝혔지만 좀처럼 ‘중재 카드’를 찾지 못하고 있다. 한국과 국제사회는 중국이 북한을 설득하는 자세를 보여주길 기대하고 있지만, 막상 북한은 중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행동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중국이 혈맹인 북한을 대놓고 윽박지르며 한국을 두둔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지난 20일 북한이 서부전선에 포격을 가한 이후 중국은 극히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긴장이 최고조에 달한 21일 밤에서야 비로소 중국 외교부는 남북 모두에 자제를 촉구했고,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는 사태 해결을 위해 ‘건설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의 굼뜬 반응에 대해 중화권 매체 둬웨이는 “북한의 돌발 행위에 중국도 놀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매체는 “최근 북한의 행태는 남한을 향한 위협일 뿐만 아니라 중국을 향한 경고이기도 하다”면서 “중국이 한국과 가까워지는 것에 대한 불만, 자신들이 한국을 공격하면 중국도 어쩔 수 없이 말려들 수밖에 없다는 계산, 중국과 상의 없이 대남 관계를 이끌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지재룡 중국 주재 북한대사는 지난 21일 중국 언론들을 빼놓고 긴급 내외신 기자회견을 열었다. 중국 언론도 지 대사의 기자회견을 거의 보도하지 않았다. 베이징 외교가에선 북한이 남북 협상 테이블에 나온 것도 중국과 협의한 것이 아니라 자체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중국은 국가 대사인 9월 3일 항일 승전 70주년 열병식을 앞두고 북한이 남북 위기를 조장하고 있는 것을 불쾌하게 여기고 있다. 그렇지만 일방적으로 북한에 자제를 촉구하기도 힘들다. 중국 외교 입장을 대변해온 관영 환구시보는 지난 22일 사설에서 “미국이 완전히 한국 편에만 서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없다면 조정자가 아무도 없는 상황이 초래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신문은 23일에는 남북 위기의 원인으로 미국의 개입, 한·미 군사훈련, 한국의 대북 확성기 방송을 꼽았다. 어떤 식으로든 한·미 동맹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 연출돼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5-08-24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