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년간 북한발 사이버 공격의 74%가 포털 네이버나 다음 등을 사칭한 이메일 피싱 공격으로 나타났다.
국가정보원이 25일 공개한 ‘2020~2022년 북한 해킹조직 사이버 공격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을 상대로한 북한 사이버 공격 중 이메일을 악용한 해킹 공격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보안프로그램 약점을 뚫는 ‘취약점 악용’(20%), 특정사이트 접속시 악성코드가 설치되는 ‘워터링 홀’(3%) 수법이 뒤를 이었다.
해킹 메일을 사칭한 기관으로는 포털 네이버와, 카카오가 운영하는 다음이 각각 45%와 23%였다. 금융·기업·방송언론을 사칭한 경우도 12%, 외교안보 기관을 사칭한 경우도 6%를 차지했다.
특히 북한은 수신자가 메일을 쉽게 열람하도록 발신자명과 메일 제목을 교묘하게 변형했다. 발신자를 포털사이트 운영자인 것처럼 가장했고 이메일 주소도 ‘naver’를 ‘navor’로, ‘daum’을 ‘daurn’로 표시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이 해킹 메일로 확보한 계정정보를 이용해 2~3차 공격 대상자를 선정해 악성코드 유포 등 공격을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이메일을 열람할 때 발신자명과 함께 ‘관리자 아이콘’ 확인하고 공식 관리자 메일 주소인지 등을 점검하라고 당부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이 대한민국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해킹 공격을 하고 있다”며 “네이버와 다음 등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운영사와 해킹 메일 차단 방안 마련을 위한 정보 공유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원이 25일 공개한 ‘2020~2022년 북한 해킹조직 사이버 공격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을 상대로한 북한 사이버 공격 중 이메일을 악용한 해킹 공격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보안프로그램 약점을 뚫는 ‘취약점 악용’(20%), 특정사이트 접속시 악성코드가 설치되는 ‘워터링 홀’(3%) 수법이 뒤를 이었다.
해킹 메일을 사칭한 기관으로는 포털 네이버와, 카카오가 운영하는 다음이 각각 45%와 23%였다. 금융·기업·방송언론을 사칭한 경우도 12%, 외교안보 기관을 사칭한 경우도 6%를 차지했다.
국정원은 이메일을 열람할 때 발신자명과 함께 ‘관리자 아이콘’ 확인하고 공식 관리자 메일 주소인지 등을 점검하라고 당부했다. 국정원 관계자는 “북한이 대한민국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해킹 공격을 하고 있다”며 “네이버와 다음 등 국내 주요 포털사이트 운영사와 해킹 메일 차단 방안 마련을 위한 정보 공유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