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첫 국감 14일 시작…피감기관 630곳 역대최다

새 정부 첫 국감 14일 시작…피감기관 630곳 역대최다

입력 2013-10-10 00:00
업데이트 2014-06-10 15: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간 짧아 ‘부실국감’ 우려…기업인 증인, 일반증인 4명중 3명꼴남북회담 대화록·국정원 개혁안·교과서·기초연금 등 ‘뇌관’

박근혜 정부 들어 첫 번째 국정감사가 오는 14일부터 다음 달 2일까지 20일간 열린다.

감사 대상 기관은 지난해보다 73개가 늘어난 630개 기관으로 확정됐다.

국회는 10일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와 본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국정감사 계획을 여야 합의로 의결했다.

운영위는 이날 상임위별 피감기관 합계 630곳을 확정했고, 본회의에서는 이 가운데 본회의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하는 군인공제회와 농협 등 유관 기관 34곳을 승인했다.

피감 기관이 600곳을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제헌 국회 이래 최다 규모다.

이에 따라 폭넓은 감사가 될 것이란 긍정적 전망과 함께 일정과 비교해 피감 기관이 너무 많아 ‘부실 국감’이 될 것이란 부정적 시각이 병존하고 있다.

늘어난 기관만큼 증인과 참고인의 숫자도 많이 늘어났고, 특히 일반 증인 가운데 기업인 숫자가 사상 최대치로 나타나 ‘국정’이 아닌 ‘기업경영’에 대한 감사로 변질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도 일고 있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주요 재벌그룹 경영자들을 비롯한 기업인 숫자가 200명에 가까워 전체 일반 증인 4명 중 3명꼴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한 비판을 의식한 듯 정무위는 이날 신종균 삼성전자 대표와 박봉균 SK에너지 대표 등 일부 증인에 대한 출석 요구를 철회했다.

대선 국면에서 열려 19대 국회 첫 국감의 의미가 무색할 만큼 부실하게 진행됐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 국감은 새 정부 정책의 공과를 처음 점검할 기회라는 점에서 국회와 정부 사이 또는 여야 간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특히 여야는 국가정보원 개혁안,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 미(未)이관, 기초연금 후퇴 논란, 역사 교과서 개정 방향, 채동욱 전 검찰총장 사퇴를 비롯한 인사 파동, 동양그룹 부실 사태, 4대강 사업 등을 놓고 한 치의 양보 없는 일전을 예고하고 있다.

이날 정무·안행·국토교통·보건복지위는 전체회의를 열어 지난해 결산안과 예비비 지출안 등을 승인했고, 정보위는 예산결산심사 소위원회를 열어 결산안 심의를 진행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