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FTA 강행’ 저지 방안 부심

민주, ‘FTA 강행’ 저지 방안 부심

입력 2011-11-18 00:00
업데이트 2011-11-18 11: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당이 한미FTA(자유무역협정) 비준안 대책을 놓고 고심에 빠졌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15일 국회를 방문해 ‘비준안 처리 후 3개월 ISD 재협상’을 제안한 이후 당내 강ㆍ온 갈등이 표면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고, 한나라당이 오는 24일 본회의에서 강행처리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18일 오전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론을 재확인하며 한나라당이 강행처리를 시도한다면 강력 저지하겠다는 입장을 재천명했다.

손학규 대표는 “우리 입장은 국회에 비준을 요구하기 전에 재협상하라는 것이고, ISD 조항은 폐기돼야 한다는 것”이라며 “대통령도 재협상 의사를 밝힌 만큼 ISD 폐기를 위한 재협상을 한다는 사실을 양국 장관급 이상이 서명한 문서로 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진표 원내대표는 전날 열린 한나라당의 의총에 대해 “민주당의 요구를 묵살한 동문서답이자 강행처리를 위한 명분쌓기지만 대화와 타협의 끈을 놓지 않아 희망이 있다”며 “한나라당은 재협상 서면 합의서를 받아오란 주장에 답을 하라”고 밝혔다.

그러나 물리적 저지 여부를 놓고 강ㆍ온 대립이 가시화되면서 곤혹해하는 모습도 역력하다.

당내 갈등이 증폭돼 당이 분열하고 있는 것으로 비칠 경우 비준안 처리 저지를 위한 동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비판 여론에 직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온건파인 김성곤 의원은 SBS 라디오에 출연, “실력저지라는 건 의회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것이어서 신중해야 한다”며 “몸싸움이 일어나면 저는 그 가운데서 삼천배를 드리겠다”고 밝혔다.

반면 강경파인 정동영 최고위원은 한미FTA 비준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는 민주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의 발언을 문제삼으며 “일부 젊은 지자체장들이 잘못된 인식으로 당의 전선에 타격을 줘 우려스럽다”고 비판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당 지도부는 최종적인 입장을 결정하기 위해 21일 의원총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특히 한나라당이 민주당의 요구에 답변을 내놓지 않은 채 표결처리를 위한 수순밟기에 들어간 이상 민주당도 더이상 기다릴 수 없다는 판단인 셈이다.

여기에는 당내 의원들 사이에 한미FTA에 대한 피로감이 확산되고 있어 당론을 결정하지 않을 경우 당내 분열이 증폭될 것이란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핵심 당직자는 “이제 더이상 시간을 끄는 것은 의미가 없다. 월요일 의총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결론을 내려야 한다”면서도 “당이 단일대오를 유지해야 하고, 분열된 모습으로 비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