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로 읽는 세상]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대화할 땐 엄마 더 찾는 청소년들

[숫자로 읽는 세상]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대화할 땐 엄마 더 찾는 청소년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4-07-24 13:49
수정 2024-07-25 17: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개발원, 통계플러스 여름호
‘수도권 아동·청소년 웰빙’ 분석
엄마와 대화 74%, 아빠는 53%
중학생은 활발, 고등학생 땐 ‘뚝’

이미지 확대
부모와의 대화 정도(2020년) <자료: 통계청 통계개발원 KOSTAT 통계플러스 여름호>
부모와의 대화 정도(2020년)
<자료: 통계청 통계개발원 KOSTAT 통계플러스 여름호>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

누구나 어릴 때 이런 질문을 받고 고뇌에 빠진 적이 있을 겁니다. 눈치 없이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엄청난 후폭풍이 몰려옵니다. 가정의 평화를 위해 가장 현명한 답은 “둘 다”일 것입니다. 너무 솔직해도 탈입니다. 때론 하얀 거짓말도 필요한 법이죠.

하지만 현실에선 정답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엄마를 꼽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습니다. 이런 가설을 간접적으로 입증할 만한 통계를 찾아봤습니다.24일 통계청 통계개발원의 통계플러스 여름호에 실린 ‘국제 아동 지표 체계 기반 수도권 아동·청소년 웰빙 현황’에 따르면 2020년 수도권 청소년(12~17세) 중 ‘부모님과 충분히 대화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아버지 52.7%, 어머니 73.7%로 나타났습니다. 비수도권은 아버지가 49.9%, 어머니가 73.5%로 집계됐습니다.

수도권이든 비수도권이든 청년층 10명 중 7명 이상은 어머니와 충분히 대화를 나누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반면, 아버지와 충분한 대화를 나눈다고 답한 비율은 2명 중 1명에 그쳤습니다. 뒤집어 보면 2명 중 1명은 아버지와 충분한 대화를 하지 못한다는 얘기죠.

자녀와의 대화 비중에서 보면 청소년은 아무래도 아버지보단 어머니를 더욱 친근하게 여기는 것 같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다시 “엄마가 좋아. 아빠가 좋아”라고 묻는다면 10명 중 7명 이상 “엄마”라고 답할 것 같습니다.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나눠서 보겠습니다. 어머니와 충분한 대화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학생은 69.7%, 여학생은 78.3%였습니다. 아버지와 충분한 대화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학생 54.8%, 여학생 50.3%로 집계됐습니다. 어머니와 대화하는 비율은 여학생이, 아버지와 대화하는 비율은 남학생이 더 높은 것입니다. 이는 ‘아빠와 아들’, ‘엄마와 딸’의 관계가 유독 돈독한 이유를 보여주는 통계로 보입니다. 아들은 동성인 아버지에게, 딸도 동성인 어머니에게 더 속내를 쉽게 드러낼 수 있기 때문에 대화의 빈도도 더 높은 것 같습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으로 나눠보면, 중학생은 어머니와 대화하는 비율이 80.3%, 아버지와 대화하는 비율이 63.2%로 조사됐습니다. 고등학생은 어머니 65.3%, 아버지 40.5%였습니다. 중학생 때만 해도 꽤 높았던 부모와의 대화 비중이 고등학생이 되자 15~22% 포인트 안팎 뚝 떨어진 것입니다. 대학 입시를 앞두고 학업에 열중하느라 부모와의 대화가 단절됐음을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