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수능’에 수시 탈락 증가?…정시 전략 어떻게 세울까[에듀톡]

‘불수능’에 수시 탈락 증가?…정시 전략 어떻게 세울까[에듀톡]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3-12-09 08:00
업데이트 2023-12-09 0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총점 같아도 대학별 자체 점수 달라
영역별 반영 요소·비율 확인 필요
수시 탈락 이월 인원 확인 후 결정을

이미지 확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8일 대구 경북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능 성적표 확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성적표 배부일인 8일 대구 경북여자고등학교 3학년 교실에서 학생들이 수능 성적표 확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치른 수험생들이 성적표를 받았다. 역대급 ‘불수능’으로 평가된 만큼 수험생들은 성적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시 지원 대학을 고민해야 한다. 입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정시 지원 전략을 정리했다.

2024학년도 정시모집 원서 접수는 내년 1월 3일부터 6일까지 진행된다. 수험생들은 우선 영역별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해야 한다. 같은 점수라도 대학별로 비중 있게 보는 영역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대학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수능 성적표에는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적혀있다. 성적을 확인했다면 가고 싶은 대학의 학과별 수능 반영 방법부터 살핀다. 대학들은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을 활용해 자체 전형 점수를 산출한다. 자신이 유리한 점수를 얻은 영역의 반영 비중이 높은 대학에 지원하는 것이 합격률을 높이는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탐구영역은 선택과목에 따라 점수가 다른 만큼, 이를 보정한 대학별 변환 표준점수를 잘 확인해야 한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수능 위주 전형은 총점이 다른 학생들과의 경쟁이 아니라 총점이 같은 학생들의 경쟁”이라며 “자신과 총점이 같거나 비슷한 범위 내에 있는 학생들과 나의 영역별 성적을 비교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 국어·수학·탐구 기준 백분위 총점이 300점 만점에 210점이라면, 같은 총점을 받은 학생들 사이에서 자신의 강점이 어떤 영역인지 분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최상위권 학생은 서울권 상위권 학과와 지방 의약학계열 학과에 지원할 수 있다. 서울권 대학은 주로 가군과 나군에 많이 몰려 있어 기회가 사실상 2번뿐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상위권 학생들이 지원하는 서울 소재 대학의 경우 입시 전문가들은 입시 일자가 주로 가군과 나군에 많이 있어 둘 중 한 개 군의 대학은 합격 위주로 선택하고, 나머지 군의 대학에 소신 지원하는 것을 권한다.

중위권 점수대는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몰려있고 경쟁이 치열하다. 김원중 대성학원 입시전략실장은 “수능 점수는 어떤 조합을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지를 잘 확인해 3번의 복수지원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며 “수능 3과목을 반영할 경우 합격 가능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오는 29일에서 내년 1월2일 사이 발표되는 최종 모집인원도 점검해야 한다. 대학들은 수시 합격자들의 등록이 끝나면 미충원 인원이 발생하고 그 만큼을 정시 모집에서 더 뽑는다. 특히 올해는 수능이 어려웠던 만큼 최저학력기준을 맞추지 못하는 수험생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시 원서접수 시작 전에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되는 인원을 포함한 최종 모집인원을 확인한 뒤 지원을 결정 하는 게 좋다.

김지예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