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크레올(Creole)의 열기 속으로…세이셸 크레올 축제 참관기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9-30 12:05 여행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해마다 10월 하순이면 인도양의 섬나라 세이셸공화국에서 ‘크레올 페스티벌’이 열린다. 세이셸 문화의 다양성을 엿볼 수 있는 축제다. 크레올의 정체성을 계승하기 위한 축제이기도 하다. 세이셸뿐 아니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인근 국가의 크레올들이 모여 음악과 춤, 미술, 공예, 음식, 전통문화, 생활방식을 체험할 수 있는 행사들이 펼친다.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현란한 춤을 선보이는 주민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현란한 춤을 선보이는 주민들.

크레올(Creole)은 다양한 인종이 섞인 현지인을 일컫는 표현이다. 지난 200여년 동안 세이셸에서는 아프리카인, 유럽인, 중국인, 인도인 등 서로 다른 전통과 종교를 가진 인종들이 함께 살아왔다. 이같은 다민족의 핏줄과 문화가 융합되며 세이셸의 정체성은 다채로워졌고, 언어도 불어가 변형된 크레올어와 영어 등을 사용하는 다언어 국가로 발전했다.
크레올 축제에 참가한 주민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크레올 축제에 참가한 주민들.

애초 세이셸은 무인도였다. 그러다 1742년 프랑스인이 정착해 살기 시작한다. 우리로 치면 조선 영조(18년)가 통치하던 때다. 이 무렵 아프리카에서 흑인들을 데려온다. 일꾼으로 쓰기 위해서다. 이후 19세기 초 아프리카 영토 분할 전쟁이 끝날 무렵 영국이 세이셸의 새 주인이 된다. 영국의 속국으로 지내던 세이셸은 1976년 독립했다. 세이셸 사람들의 자부심이 남다른 건 이 때문이다.
퍼레이드에 참가한 크레올 학생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퍼레이드에 참가한 크레올 학생들.

‘크레올 페스티벌’은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해 만든 행사다. 다양한 역사 관련 세미나가 열리고, 미술전 등 각종 전시회와 공연 등이 펼쳐진다. 하이라이트는 수도 빅토리아에서 열리는 퍼레이드다. 시가지 전체가 크레올들의 현란한 춤과 땀, 그리고 열기로 가득 찬다. 지치지 않고, 결코 깨질 것 같지 않은 아프리카 특유의 리듬과 흥을 만끽할 수 있다.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크레올들의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있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세이셸 수도 빅토리아에서 크레올들의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있다.

보통 세이셸 내 여러 섬에서 온 20개 안팎의 팀을 비롯해, 영국, 인도, 모리셔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여러 나라에서 참가한 팀 등 30~40개 팀이 퍼레이드를 펼친다. 참가팀들이 시내 중심부를 거쳐 약 3km 정도 퍼레이드를 벌이는 동안 거리는 뜨거운 열기로 가득 찬다. 무더운 날씨에도 참가팀들은 쉴새 없이 역동적인 춤사위를 펼치고, 연도의 시민들은 뜨거운 함성과 응원으로 화답한다.


글·사진 손원천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