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용 단장 취임 후 첫 안무작… 국립현대무용단 ‘정글-감각과 반응’ 새달 4일 공연
낯선 곳에 놓였을 때 인간의 감각은 극대화된다. 특히 그곳이 정글 같은 미지의 대자연일수록 생존 본능은 몸의 온 신경을 날카롭게 곤두세운다. 그런 곳이라면 반응도 평소와 달라지기 마련이라 인간은 낯선 자신을 만나게 된다.오는 10월 4일 서울 종로구 아르코예술극장에서 선보이는 김성용 국립현대무용단장의 신작 ‘정글-감각과 반응’은 내면의 모든 감각이 깨어나는 곳이자 가식과 허영이 없는 공간으로서의 정글과 그 안에서의 움직임을 드러낸다. 김 단장의 취임 후 첫 안무작이자 2023 MODAFE(국제현대무용제) 공동개막작이다. ●“감각이 열렸을 때 새로운 몸짓 나와”
지난 19일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만난 김 단장은 “스스로 감각하고 반응할 수 있는 것에 민감해지는 상황이 만들어지고 그 감각들이 열렸을 때 새로운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감각과 반응’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몸짓을 만들어 내기 위한 공간으로서 ‘정글’은 김 단장이 생각한 “최적의 장소”다. 같은 종이더라도 정글에 사는 벌레를 마주했을 때 반응이 일상에서 마주했을 때와 차원이 다른 것을 생각하면 왜 정글이라는 공간을 설정했는지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김 단장은 “스리랑카 정글을 가 봤는데 ‘이 안에서 서식하는 생명체들은 인간 사회와 멀어질 수밖에 없구나’ 생각했다. 대낮인데도 무섭더라”라면서 “정글은 늘 가던 곳이 아닌 데다 그 안에는 두려움의 대상도 있고 어떤 일이 펼쳐질지도 모르지만 아름다운 것들이 발견되는 장소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정글, 생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
김 단장이 무용수들에게 상황을 주고 스스로 움직임을 찾게 하는 ‘프로세스 인잇’(Process Init)이라는 과정을 통해 움직임을 만들었다. 관객들은 정글에서 끌어낸 무용수들의 낯선 움직임을 통해 생의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하는 치열한 모습을 보게 된다.
●18명, 60분간 쉼없이 몸으로 말하다
무대에는 18명의 무용수가 등장해 거대한 움직임을 펼쳐 낸다. 지난 5월 단장으로 취임한 그가 무용단으로서의 정체성을 보여 주고 싶어 많은 인원을 선발했다.
김 단장은 “사람들이 국립현대무용단에 기대하는 작품 규모가 있어 국립현대무용단이 할 수 있는 작품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면서 “그간 150편 넘게 만들면서 무용에 대한 생각도 많이 바뀌었다. 지금은 무용은 움직임이고 움직임 안에 모든 것을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해 움직임이 잘 보일 수 있는 작품, 춤의 본질에 더 접근하는 작품을 보여 주고자 한다”는 각오를 전했다.
류재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