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잼버리 1년 전 소름 돋는 예견…당당했던 김현숙 장관 재조명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8-05 18:09 정치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SNS 뉴스 캡처.

▲ SNS 뉴스 캡처.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이하 잼버리)’가 운영 미흡 논란으로 국내외에서 비판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국회 국정감사에서 대회 운영의 위험성을 지적한 국회의원의 예측과 이와 반대로 시종일관 당당했던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이 모습이 뒤늦게 재조명되고 있다.

잼버리 조직위원회 공동조직위원장인 김현숙 장관은 지난해 8월 18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배수 시설이나, 화장실, 급수대 등 시설들이 늦어지고 있다. 잘못하면 준비 상태가 상당히 문제 될 수 있다”는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준비가) 늦어진 건 농식품부나 해수부, 새만금청과의 사용 허가 변경 절차인데 거의 완료됐다”고 대답했다.

이 의원의 지역구는 전북 부안으로 당초 새만금에서 열리는 세계적인 대규모 행사를 두고 벌어질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예측한 것으로 보인다.

이 의원의 지적에도 김 장관이 “아직 잼버리 현장을 못 가봤다”고 답변하자, 이 의원은 “(지금이라도) 빨리 현장에 가보셨으면 좋겠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SBS 뉴스 캡처.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SBS 뉴스 캡처.

잼버리 준비 과정의 문제점에 대한 지적은 지난해 10월 25일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이어졌다.

다시 질의에 나선 이 의원이 “세계 잼버리 개막이 열 달 남았는데 잘 진행될 것 같냐”고 묻자, 김 장관은 “물론이다. 저는 차질 없이 준비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이번에도 자신 있는 태도로 답변했다.

그러자 이 의원이 “폭염이나 폭우 대책, 비산먼지 대책, 해충 방역과 코로나19 감염 대책, 관광객 편의시설 대책, 영내외 프로그램을 다 점검해야 한다”며 “전 세계에서 바라보는 이 대회가 정말 어려운 역경에 처할 수 있다는 걸 인지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우려를 표했다.

심지어 이 의원은 “두고 봐라. 나중에 역사가 장관님께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경고까지 했다. 그럼에도 김 장관은 “태풍, 폭염에 대한 대책도 다 세워놓았다”며 기존의 당당함을 잃지 않았다.

이번 잼버리 대회 부실 논란이 예견된 인재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5일 전북 부안군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회장 프레스룸에서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 관련 정부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한 총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의 잼버리 중지 요청에도 일정대로 대회를 마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오른쪽은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2023.8.5 연합뉴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한덕수 국무총리가 5일 전북 부안군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회장 프레스룸에서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 관련 정부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한 총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의 잼버리 중지 요청에도 일정대로 대회를 마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오른쪽은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2023.8.5 연합뉴스

한편, 한덕수 국무총리는 이날 각국 대표단과의 회의를 거쳐 이번 잼버리를 중단하지 않고 계속 진행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한 총리에게 “한국의 산업과 문화, 역사와 자연을 볼 수 있는 관광프로그램을 (잼버리에) 긴급 추가하라”고 지시했다.

최재헌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