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가구 빈곤율 47%… 혼자 사는 노인 70%가 ‘빈곤층’

1인가구 빈곤율 47%… 혼자 사는 노인 70%가 ‘빈곤층’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3-04-10 00:57
수정 2023-04-10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년 39%·장애인 40% ‘가난’
여성 빈곤율 56%… 남성 35%

이미지 확대
가족 없이 혼자 사는 사람들이 급격히 늘고 있는 가운데 1인 가구 빈곤율이 50%에 육박하는 것으로 9일 파악됐다. 1인 가구가 증가가 사회적 고립뿐 아니라 경제적 어려움이란 사회문제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고 특히 독거노인 10명 중 7명은 빈곤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최근 발간한 ‘2022년 빈곤통계연보’에서 1인 가구의 빈곤율을 47.2%로 집계했다. 2020년 전체 인구의 가처분소득 기준 상대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 비율) 15.3%와 비교해 3배 이상 높았다. 1인 가구의 빈곤율은 2016년 54.0%에서 2017년 52.1%, 2018년 52.7%, 2019년 51.8%를 기록한 후 2020년 50% 이하로 내려왔다.

1인 가구 빈곤율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남성보다 여성이 높았다. 65세 이상 독거노인의 빈곤율은 72.1%로 나타났다. 2016년(78.4%)과 비교해 6.3% 포인트 낮아졌지만 여전히 빈곤율이 심각하다. 1인 가구 중 중년층(50~64세) 빈곤율도 38.7%로 장년층(35~49세·19.5%), 청년층(19~34세·20.2%)보다 높았다. 여성 1인 가구의 빈곤율(55.7%)은 남성(34.5%)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전 연령대 빈곤율은 장애인 39.5%, 아동 9.8%, 청년 8.2%로 나타났다. 아동과 청년은 2016년 각각 15.2%, 10.4%에서 감소했다. 여성 가구주는 32.6%로 남성 가구주(12.1%)보다 3배 가까이 높았고 한부모가구 빈곤율은 2016년 42.3%에서 2020년 22.4%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는 혼인·부양에 대한 가치관이 변하면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통계청 발표에서 2021년 1인 가구는 716만 6000가구로 직전년과 비교해 7.9%(52만 2000가구) 늘었다. 1인 가구의 비중은 2005년 20% 수준에서 33.4%로 상승했고 2050년 39.6%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1인 가구가 늘면서 2021년 3378명이 ‘고독사’했다는 복지부 조사 결과도 나온 바 있다.

2023-04-1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