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韓銀,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2 18:30 금융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경기 둔화 등으로 낮춰야 하지만
고물가·美와 금리차에 대응 필요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 3.5%에서 동결하는 대신 추가 인상할 가능성이 커졌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가 앞으로 두 차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을 예고한 데다 물가상승률마저 반등한 탓이다. 경기 둔화와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을 고려하면 기준금리를 더이상 인상하기 어렵지만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와 물가에 대응하지 않을 수도 없게 됐다.

연준이 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기준금리 상단을 4.75%까지 인상하면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격차는 기존 1.0% 포인트에서 1.25% 포인트로 벌어졌다. 2000년 10월(1.50% 포인트) 이후 가장 큰 폭이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날 “두어 번 금리 인상이 더 필요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지난해 12월 공개된 점도표에서 제시한 것처럼 최종 기준금리 상단이 5.25%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열렸다.

한은이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미국이 기준금리 상단을 5.0%까지 올리면 금리 격차는 1.50% 포인트, 5.25%까지 올리면 1.75% 포인트까지 벌어져 외국 자본 유출과 원화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미국의 금리 인상을 기계적으로 따라가기보다 국내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선을 그어 왔지만 “미국보다 금리 인상을 먼저 종료하기는 어렵다”면서 한은이 연준과 완전히 독립적으로 통화정책을 펼 수는 없음을 시사한 바 있다.

지난해 7월 정점을 찍고 안정되던 물가가 다시 반등하는 것도 변수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2%로 지난해 12월(5.0%) 대비 0.2% 포인트 올랐다. 가스·교통 등 공공요금이 치솟는 데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도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연준이 사실상 ‘피벗’(pivot·정책 전환)을 시사했으며, 연준이 앞으로 한 차례 더 ‘베이비스텝’(기준금리 0.25% 포인트 인상)을 단행한 뒤 금리 인상 사이클을 종료할 가능성에 힘을 싣는다. 민지희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연준의 긴축 속도 조절이 이뤄지며 한은도 금리 추가 인상에 대한 부담이 다소 완화했다. 2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3.5%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내다봤다. 금통위 내부에서는 기준금리 동결과 추가 인상을 놓고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김소라 기자
2023-02-03 4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