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내외 OTT플랫폼 법적 대응 예고에 ‘OTT 쪼개 팔기’ 서비스 문닫나

국내외 OTT플랫폼 법적 대응 예고에 ‘OTT 쪼개 팔기’ 서비스 문닫나

윤연정 기자
입력 2022-09-24 19:31
업데이트 2022-09-24 19: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블로그]

‘페이센스’에서 주요 OTT의 1일 이용권이 판매되고 있다. 대부분의 서비스는 중단됐고 현재 ‘디즈니플러스’와 ‘비플릭스’ 1일 이용권만 남아있다. 페이센스 홈페이지 캡쳐
‘페이센스’에서 주요 OTT의 1일 이용권이 판매되고 있다. 대부분의 서비스는 중단됐고 현재 ‘디즈니플러스’와 ‘비플릭스’ 1일 이용권만 남아있다. 페이센스 홈페이지 캡쳐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이용권을 하루 단위로 쪼개 판매해 인기를 끌었던 ‘페이센스’ 플랫폼이 문을 닫을 위기에 놓였다. 국내외 OTT 플랫폼들이 법적 대응을 예고하면서 주요 서비스가 사실상 모두 중단됐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페이센스는 지난 21일 넷플릭스 1일권 판매를 중단했다. 앞서 지난 13일 넷플릭스는 지난달 말 페이센스에 약관 위반 사항 및 1일 판매권 중단을 요청하는 내용증명을 보냈다. 넷플릭스가 내용증명을 발송한 지 한 달이 채 되지 않아 해당 서비스가 중단된 것이다.

국내 OTT 3사(웨이브·티빙·왓챠)에 이어 넷플릭스의 서비스도 중단되면서 현재 페이센스에 남아있는 1일 이용권은 디즈니플러스와 최근 수익 배분 제휴를 맺은 토종 OTT인 비플릭스 등 2종이다. 다만, 디즈니플러스도 지난 16일 페이센스에 1일 이용권 판매 중단을 요청하는 내용증명을 보낸 만큼 디즈니플러스 서비스도 이른 시일 내에 종료될 가능성이 크다.

국내 OTT 3사가 대응에 나서면서 다른 서비스도 중단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페이센스는 한동안 지속적으로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1일 이용권을 판매했다. 그동안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던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가 대응에 나선 배경이다. 넷플릭스 서비스 종료에 이어 디즈니플러스도 조만간 중단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페이센스 등장 이후 지속됐던 논란은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페이센스는 지난 5월부터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왓챠, 디즈니플러스 등 주요 OTT의 1일 이용권을 400~600원 수준에 판매해 왔다. 페이센스는 한 달 이용권을 구매해야 하는 OTT 구독형 방식에 피로감이 커진 고객들을 대상으로 1일권 서비스를 출시해 이용자의 지지를 얻었지만, 동의 없이 OTT별 약관을 위반하는 등 위법 소지 문제로 비판도 키웠다.

국내 OTT 3사는 제일 먼저 지난 6월 페이센스에 서비스 중단을 요청하는 내용증명을 보냈다. OTT 3사가 가처분 신청을 내는 등 법적 절차를 밟자 페이센스는 서비스를 출시한 지 두 달여 만에 3사의 1일 이용권 판매를 중단했다. 당시 내용 증명서는 페이센스의 서비스가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저작권법 등을 위반했다는 사실을 적시했다.

페이센스와 같은 서비스가 확산되면 구독자가 줄어드는 등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OTT업계가 발 빠르게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 최근 발표한 한국콘텐츠진흥원의 ‘OTT 서비스 변화와 이용 전망 분석’ 보고서를 보면 OTT 이용자 86.3%가 타인과 계정을 공유하고 있다. 특히 1020 세대 이용자들은 경제적인 이유로 타인과 계정 공유 시 구독료를 나눠 지불하는 경우가 대다수인 것으로 파악됐다. 가령 넷플릭스의 타인 간 계정 공유 금지 정책이 향후 시행되면 많은 이용자가 페이센스와 같은 서비스를 찾을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한 OTT 관계자는 “최근 젊은층에서 합리적인 소비 패턴을 보이며 타인과 계정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은 만큼, 더 값싼 구독료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면 이를 마다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윤연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