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287명으로 일주일 전인 지난달 25일(144명)의 두배로 늘었다. 앞으로 발생할 위중증 환자를 가늠할 수 있는 신규 확진자는 4만 4689명으로 일주일 전(3만 5860명)의 1.25배 수준이지만, 준증증 병상 가동률(51.8%)은 이미 절반을 넘겼다. 위중증 병상(29.9%)도 가동률이 30%에 육박했다.
방역 당국은 이번 재유행 정점이 하루 20만명 수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숨은 감염자를 감안한다면, 실제 유행 규모는 두 배에 달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전체 감염자 중 3분의2에서 절반 정도만 확진 판정을 받는 것으로 본다. 감염 사실을 모르는 무증상자·경증 환자가 자칫 고위험군에게 전파하는 연결고리가 될 수 있는데, 휴가철 동안 이동량이 늘어나는 점도 위험 요인이다.
위중증화·사망을 줄이기 위한 4차 접종이 속도가 붙을지도 미지수다. 4차 접종 예약을 마친 50대는 92만 1923명(13.2%)으로 60세 이상의 4차접종 예약률(44.7%)과 비교하면 차이가 크다. 방역당국이 백신 접종을 권고하면서도 ‘코로나19 치명률이 계절 독감 수준’이라고 언급해 접종 유인을 떨어뜨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 교수는 “당국이 국민 경각심까지 무장해제시키고 있다”면서 “정부 말대로 계절독감으로 생각하면 누가 백신을 열심히 맞겠는가”라고 꼬집었다.
김주연·이현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