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불의 못 참아요” 확신 강할수록 쉽게 혐오에 빠진다 [정중하고, 세련된 혐오사회]

“불의 못 참아요” 확신 강할수록 쉽게 혐오에 빠진다 [정중하고, 세련된 혐오사회]

유대근, 최훈진, 이주원, 이근아 기자
입력 2022-07-25 22:22
업데이트 2022-07-26 07: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혐오 택한 ‘정의의 사도’들

연구는 사회적공감, 내집단애착, 자기확신 외에 관계공감(대인관계에서의 공감능력), 이슈확신(특정 이슈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확신) 총 5개의 변인을 두고 분석했다.
연구는 사회적공감, 내집단애착, 자기확신 외에 관계공감(대인관계에서의 공감능력), 이슈확신(특정 이슈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확신) 총 5개의 변인을 두고 분석했다.
혐오는 바이러스처럼 진화한다. ‘더 세련되게 위장돼 내가 누군가 혐오하고 있음을 느끼지 못하는 상태’(최인철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로 변이하고 있다. 내 마음속 감정이 혐오가 아닌 것처럼 포장될수록 전염성은 더 커진다. 우리 곁의 보통 이웃이 자신과 다른 정체성을 가진 집단을 수시로 공격하는 ‘평범한 혐오 시대’의 빗장은 그렇게 풀렸다. 서울신문은 일상이 돼 버린 혐오 이야기를 담은 ‘정중하고 세련된 혐오사회’ 연재를 시작한다. T&C재단이 발간한 혐오 분석서 ‘헤이트’에 참여한 필진 등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들어 총 6회에 나눠 싣는다. 누가 가해자가 될 수 있는지, 정치인과 언론 등은 대중의 불안 심리에 어떻게 불을 붙이는지 등을 짚는다. 첫 회에서는 정의감에 취한 이들이 타인을 더 쉽게 혐오하는 실태 등을 분석했다.

● 집단 애착 클수록 소수자에 부정적
공감을 잘하는 사람은 타인을 겨냥한 혐오와 불편감을 덜 느낄까. 답은 ‘꼭 그렇지 않다’였다. 오히려 본인이 속한 집단에 대한 애착이 클수록 이주민, LGBT(레즈비언·게이·양성애자·트랜스젠더) 등 사회 소수자에게 부정적 감정을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택적 공감’이 혐오를 낳는 핵심 원인일 수 있다는 얘기다.

서울신문 스콘랩은 미디어 심리학 전문가인 나은영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와 함께 ‘우리 사회에서 누가 혐오주의자가 될 수 있는가’를 두고 취재·연구해 이런 답을 찾았다. 연구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한 ‘대국민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했다. 인식조사는 지난 6월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일주일간 전국 만 19~6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자기 확신이 강한 사람일수록 소수자를 향한 부정적 감정이 컸다. 예컨대 ‘불의를 참지 못한다’거나 ‘내가 틀렸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한 번 내린 결정을 쉽게 바꾸지 않는다’고 답한 이들은 그렇지 않은 응답자보다 이주민과 성소수자를 향해 부정 감정(싫다·불편하다·측은하다·꺼려진다·혐오스럽다)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더 많이 드러냈다.

● “그들이 무시당한 건 그들 잘못”
또 자신이 속한 집단(내집단)에 강한 소속감을 느끼거나 가까운 사람에 대한 애착이 클수록 타인(외집단)이 겪는 어려움에 도덕적으로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예컨대 ‘내가 속한 집단이 잘되는 게 곧 내가 잘되는 것’이라고 답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과 비교해 이주민과 성소수자에 대해 ‘그들이 무시당한다면 스스로의 잘못이 크다’거나 ‘따돌림당하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라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내집단에 대한 공감은 ‘반쪽 공감’일 뿐이며 전염병 유행 등으로 소속 집단이 피해를 보면 비난의 화살을 외부로 쏠 가능성이 있다는 해석이다.

특히 성소수자에 대해서는 사회적 공감은 낮은데 관계 공감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더 도덕적 냉담을 드러냈다. 사회적 공감은 특정 사회 현안이나 사회 구조에 대한 이해도를 뜻하며, 관계 공감력은 주변 사람이 겪는 일에 쉽게 이입하는 성향을 의미한다. 주변 사람을 잘 챙기는 사람들조차 성소수자는 ‘바로 곁에 사는 존재’로 여기지 않는다는 얘기다. 나 교수는 “우리 사회가 비교적 이주민은 일원(내집단)으로 조금씩 받아들이고 있지만, 성소수자에게는 여전히 배타적”이라면서 “스스로 내집단 범위를 넓힐수록 편견과 혐오는 줄어들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스콘랩(스토리콘텐츠랩)은 팩트를 기반으로 한 이야기 형식의 기사를 지향합니다
스콘랩(스토리콘텐츠랩)은 팩트를 기반으로 한 이야기 형식의 기사를 지향합니다
※ 제보 부탁드립니다

서울신문 스콘랩은 일상에서 벌어지는 혐오, 차별 등 부당한 상황을 경험한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 있습니다. 성별, 국적, 연령, 성적지향, 출신지역, 장애 등을 이유로 직장이나 학교, 군대 등 일상생활에서 혐오나 차별을 겪으셨거나 욕설, 폭행, 위협 당하셨던 경험이 있다면 제보(jebo@seoul.co.kr) 부탁드리겠습니다 끝까지 추적해 보도하겠습니다. 제보자 신원은 철저히 익명에 부쳐집니다.
스콘랩 유대근 기자
최훈진 기자
이주원 기자
이근아 기자
2022-07-26 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