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제주 미술관서 솟아난 사탕수수… 100년 전 소녀들의 상처 보듬다

제주 미술관서 솟아난 사탕수수… 100년 전 소녀들의 상처 보듬다

김정화 기자
입력 2022-07-13 20:28
업데이트 2022-07-14 09: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주 포도뮤지엄 두 번째 기획전

미디어 아티스트 정연두의 작품
하와이로 떠난 어린 신부들 묘사

우고 론디노네의 ‘고독한 단어들’
외딴섬 같은 현대인의 모습 표현

이미지 확대
제주 포도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기획전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는 세상의 모든 소수자를 보듬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사진은 정연두 작가의 설치 작품 ‘사진 신부’.  포도뮤지엄 제공
제주 포도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기획전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는 세상의 모든 소수자를 보듬는 작품들을 선보인다. 사진은 정연두 작가의 설치 작품 ‘사진 신부’.
포도뮤지엄 제공
전시장 안으로 들어서면 가로 12m, 세로 3.6m의 비닐 온실이 관객을 맞이한다. 그 안에 있는 건 사람 키보다 크게 자란 사탕수수. 온실 속 후텁지근한 열기와 달짝지근한 사탕수수의 향, 물기를 머금은 흙과 텁텁한 공기는 꼭 1900년대 초 ‘포와’(하와이)로 시간여행을 온 것 같은 기분을 느끼게 한다. 제주 포도뮤지엄에 설치된 정연두 작가의 작품 ‘사진 신부’다.

지난해 4월 제주 서귀포시에 개관한 다목적 문화공간 포도뮤지엄이 두 번째 기획전 ‘그러나 우리가 사랑으로’를 내년 7월 3일까지 1년간 개최한다. 김희영 총괄 디렉터가 기획한 이번 전시 주제는 디아스포라와 세상의 모든 마이너리티다. 김 디렉터는 “여러 이유로 지리적, 정서적 영토를 떠나 새로운 삶을 개척하는 존재에 주목하고, 이들과 함께 어우러지는 세상에 대해 너른 시선을 제안한다”고 설명했다.

그중 미디어 아티스트인 정 작가의 ‘사진 신부’는 20세기 초 하와이로 이주한 조선 노동자들과 중매결혼하려고 고국을 떠난 어린 신부들의 아픈 역사를 재현한다. 소녀들은 가난과 억압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진 한 장에 의지해 새로운 땅을 밟았지만 만리타국에서 마주한 건 광활한 사탕수수밭과 혹독한 노동이었다. 작가는 100년 전 이들의 지난한 노동과 인생의 궤적을 따라가기 위해 제주에서 직접 사탕수수를 키우고, 당시 사진 신부와 또래였을 제주 애월고 학생들과 워크숍을 진행해 28분짜리 영상을 만들었다. 온실 옆에는 작가가 사진 신부들의 초상을 본떠 만든 설탕 공예 조형물도 있다. 단단하고도 연약한 모습은 이들이 견뎌 내야 했던 낯선 땅에서의 외로움을 보여 준다.

부부이자 듀오 아티스트인 알프레도와 이자벨 아퀼리잔의 작품 ‘주소’는 택배 상자 140개를 쌓아 올려 만든 것이다. 가로, 세로, 높이가 모두 50㎝인 정육면체 박스는 어린아이도 들 수 있을 만한 크기인데, 필리핀 우체국에서 해외로 물건을 보낼 때 세금이 붙지 않는 규격이라고 한다. 옷가지, 신발, 인형부터 책, 라디오, DVD 플레이어, 스피커까지 각종 물건이 든 박스에선 삶이 송두리째 바뀌었을 이주 노동자들의 애환과 일상의 고단함이 묻어난다.
이미지 확대
우고 론디노네의 ‘고독한 단어들’.
우고 론디노네의 ‘고독한 단어들’.
이 외에 이배경, 강동주, 리나 칼라트, 오노 요코 등 다양한 작가들이 미디어아트와 설치, 영상, 조각 등을 선보인다. 발포 고무와 에폭시 수지 등으로 만든 사람 크기의 광대 27명이 저마다 독특한 포즈를 취하고 있는 우고 론디노네의 설치 작품 ‘고독한 단어들’은 외딴섬 같은 현대인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현재 한국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들의 본국 주소와 생년을 LED 패널에 텍스트로 표현한 미술관 자체 창작품 ‘주소 터널’에서는 돈을 벌기 위해 해외로 떠나야 했던 한국 노동자들의 과거가 읽히기도 한다.

난민, 이주민 등이란 이름으로 뭉뚱그려진 이들의 면면을 제대로 살피면 결국 이 시대 우리 모두는 누구든, 어떤 방식이든 소수자일 수밖에 없다는 전시 주제가 더욱 묵직하게 다가온다.

글·사진 제주 김정화 기자
2022-07-14 25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