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환경파괴에 종(種)간 장벽 뛰어넘는 바이러스…코로나에 이어 원숭이 두창까지

환경파괴에 종(種)간 장벽 뛰어넘는 바이러스…코로나에 이어 원숭이 두창까지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5-29 16:16
업데이트 2022-05-29 16: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파괴가 만든 ‘에코데믹’ 신종바이러스 지속 출현
원숭이두창 감염 주된 경로는 신체접촉
코로나19처럼 전파력 빠르지 않아
변이 또한 드물어 대응 쉽고 팬데믹 가능성 낮아

이미지 확대
원숭이두창 테스트 샘플 2022.5.25 로이터 연합뉴스
원숭이두창 테스트 샘플 2022.5.25 로이터 연합뉴스
난개발과 환경파괴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신종바이러스의 출현을 부추기고 있다. 2015년 메르스, 2020년 코로나19에 이어 올해 원숭이두창까지, 전 세계가 끝없는 감염병에 시달린다.

29일 대한인수공통감염병 학회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까지 알려진 신종감염병의 60% 이상은 동물 병원체가 사람으로 전이돼 발생한 인수공통감염병이며, 이중 71.8%가 야생동물에서 유래했다. 박쥐에서 낙타를 거쳐 사람으로 옮겨온 메르스, 역시 박쥐에서 천산갑을 통해 사람에게 전파된 코로나19, 원숭이에게서 사람으로 갓 넘어온 원숭이두창이 대표적인 예다.

국제 통계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를 보면 원숭이두창 환자는 27일 기준 22개국에서 403명이 발생했다.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자 세계보건기구(WHO)는 각국에 경계 강화를 주문했다. 국내 유입도 시간문제다.

동물과 인간의 ‘종(種)간 장벽’을 뛰어넘어 이런 신종 바이러스가 창궐하는 이유로 우선 꼽히는 게 환경 파괴다. 김봉영 한양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예전에는 인간과 야생동물이 떨어져 살았는데, 산림이 개발되면서 인간과 동물의 접촉 기회가 잦아져 동물의 병이 사람에게 넘어와 퍼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바이러스에게 80억명에 육박하는 인류는 그야말로 ‘블루오션’이다. 개체수가 많고 조류처럼 멀리 이동할 수 있으니 바이러스 관점에서 본다면 기가 막힌 서식지다. 개발과 여행·국제 교류가 계속되는 한 신종감염병은 더 빨리, 더 자주 출현할 수 있다. 미국의 수의학자인 마크 제롬 월터스는 저서 ‘에코데믹’에서 “인류의 환경파괴가 신종감염병 등장과 감염병 확산의 주범”이라고 지적하며 감염병 유행을 뜻하는 ‘에피데믹’을 변형해 ‘에코데믹(eco-demic)’, 즉 환경감염병으로 부를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원숭이두창도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일부 국가에서만 발생하던 풍토병이었다. 1970년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첫 사람 감염 사례가 나왔고, 이후 아프리카를 중심으로 발병했으나 이번처럼 전 세계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미국 감염 사례는 남성 간 성관계에서 발견됐다고 외신은 전했지만, 로셸 월렌스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은 2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특정 그룹에 국한되지 않는다”며 감염자 일부가 원숭이두창 감염이 진행 중인 지역을 여행한 사람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원숭이두창이 대유행할 가능성을 낮게 본다. 비말(침방울) 전파가 가능하지만 주된 감염 경로는 신체접촉이기 때문이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그냥 마주보고 숨을 쉰다고 감염되진 않는다. 코 앞의 환자와 오랜시간 접촉하거나 감염된 피부·체액에 밀접접촉하지 않는 한 감염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리보핵산(RNA) 바이러스로 변이를 쉽게 일으키지만, 원숭이두창은 DNA 바이러스여서 변이를 잘 일으키지 않는다”며 “그런 점에서 코로나19보다 대응하기가 훨씬 쉽다”고 말했다.

최장 잠복기가 21일로 길어 공항 입국장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발견될 가능성이 크지만, 잠복기 감염 우려는 작다. 염준섭 세브란스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수포 등 병변이 생기는 단계부터 전염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병변에 딱지가 앉고 좋아지는 단계까지 전염력이 있는데, 증상이 전혀 없을 때는 전파력이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감염 위험이 없는 사람에게까지 백신 접종을 권하진 않는다. 두창 백신은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하게 해서 만든 생백신으로, 백신을 맞았다가 되레 두창에 걸리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이현정·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