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선수촌 곳곳에 위험요소… 불안과 싸우는 패럴림픽 선수들

선수촌 곳곳에 위험요소… 불안과 싸우는 패럴림픽 선수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1-08-25 08:17
업데이트 2021-08-25 08: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패럴림픽 선수촌 골판지 침대가 찢어져 주저 앉은 모습.
패럴림픽 선수촌 골판지 침대가 찢어져 주저 앉은 모습.
24일 개막한 2020 도쿄패럴림픽에 출전한 한국 선수단이 선수촌 안전 및 편의 문제와 씨름하고 있다. 장애인 선수들이 최선의 경기를 펼칠 수 있도록 최상의 환경이 제공되는 것이 필수지만 올림픽 때도 논란이 됐던 종이침대를 비롯해 여러 문제가 선수들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패럴림픽을 위해 최근 선수촌에 입촌한 A감독은 입촌과 동시에 선수들의 안전을 걱정하는 처지가 됐다. 화장실 변기가 샤워실과 분리돼 있었고 샤워실 안에 부실한 의자만 하나 달랑 있었기 때문이다.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인 A감독의 불안에는 이유가 있었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들은 주로 변기에 앉아 샤워하기 때문이다. 생리현상을 해결하는 동시에 샤워까지 마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일본 측이 제공한 선수촌 시설은 두 가지를 따로 해결하도록 돼 있었다.

A감독은 “장애인이라고 배려해준 것 같은데 오히려 변기랑 샤워실이랑 멀리 떨어져 있어 불편하다”면서 “개인적으로는 샤워실에 설치된 의자와 비슷한 의자에 앉다가 다리가 부러진 기억도 있어 겁이 난다. 크기가 작은 것도 무섭다”고 말했다. A감독은 선수들과 함께 비장애인 선수들이 썼던 방으로 옮기려 했지만 화장실 문이 좁아 휠체어가 드나들 수 없는 문제 때문에 결국 샤워 시설과 변기가 붙어 있는 방을 포기하고 다시 원래 제공된 방으로 돌아와야 했다.
방에 별도로 분리된 변기.
방에 별도로 분리된 변기.
B감독은 최근 가슴을 쓸어내렸다. 선수가 휠체어에서 변기로 옮기는 과정에서 변기가 부러져 크게 다칠뻔했기 때문이다. 중증 장애인인 해당 선수는 해당 종목의 핵심 선수여서 하마터면 애써 준비한 대회를 망칠 위험을 겪을 뻔했다.

B감독은 “4인이 1실을 쓰는데 중증장애인 4명이 몰려 있으니 화장실을 1명이 들어가면 나머지는 엄청 오래 기다려야 한다”면서 “방을 넉넉하게 잡아주지 않아 나가기 2시간 전부터 준비해야 한다”고 불편함을 호소했다. 그는 “장애가 심한 선수들은 장애인 방을 쓰는데 오히려 더 불편하다”면서 “선수촌 시설 때문에 경기력에 영향을 안 받을 수가 없다”고 걱정했다.

선수단은 공통적으로 “적응하는 수밖에 없다”고 체념하며 문제를 스스로 해결했다. 장애인들은 수건이 조금 더 필요한데 조직위 측에서 제공하는 수건이 부족한 문제는 선수들이 직접 수건을 공수해 방에 비치해놓는 것으로 해결했다. 다른 종목 선수들은 방에 놓인 그나마 조금 더 튼튼한 의자를 샤워실에 갖다 놓고 기존에 샤워실에 설치된 의자를 구석에 치워놓는 등 임시방편으로 샤워실 안전 문제를 해결했다는 소식도 전했다.

C선수도 “화장실은 비장애인들은 문제가 안 될 것 같은데 우리는 쓰기 힘들다”면서 “리우 때보다도 실망이 크다”고 한숨 쉬었다.
샤워실에 설치된 간이 의자.
샤워실에 설치된 간이 의자.
선수단을 불안하게 하는 문제는 또 있었다. 바로 올림픽에서도 뜨거운 이슈가 됐던 골판지 침대의 안전성 문제다.

C선수는 “우리는 휠체어를 타서 침대 모서리 같은 데 부딪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면서 “나무면 그냥 까지고 말 텐데 골판지다 보니 계속 부딪치면 무너지지 않을까 걱정된다. 휠체어로 세게 박으면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장애인이 휠체어에서 침대로 몸을 옮기기 위해서는 침대 앞에 휠체어를 두고 힘을 한 번에 모아서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골판지 침대가 찢어지는 문제가 생겨 불안함이 크다.

B감독은 “휠체어가 침대랑 안 닿을 수가 없는데 밑에 휠체어가 닿는 부분들은 그냥 찢어진다”면서 “장애인들은 힘을 분산해서 옮길 수가 없어서 침대에 바로 앉는데 침대가 약간씩 눌리는 것 같다. 우리는 털썩 내려앉기 때문에 불편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선수단 관계자 역시 “아무리 조심해도 닿는 부분들이 생긴다”면서 “침대가 푹 들어가고 복원이 안 된 채로 찌그러져 있다”고 말했다. 그는 “종이가 한 번 찌그러진 걸 펴려고 해도 금방 다시 찌그러졌다”고 덧붙였다.
샤워실로 이어지는 방 내부 모습.
샤워실로 이어지는 방 내부 모습.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까지는 아니지만 선수들은 버스 타러 이동하는 문제도 불편함을 호소했다. 한국 선수단이 묵는 1동은 바로 옆에 버스정류장이 있지만 철조망이 세워진 탓에 가장 먼 길을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대회 관련 시설은 방역을 위해 곳곳에 철조망 등을 이용해 외부 차단을 막았지만 오히려 장애인들에게는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선수촌 시설 문제는 이미 올림픽 때부터 세계 각국의 선수들이 크기가 작은 것을 비롯해 여러 가지 불편함을 호소했다. 당시에도 하시모토 세이코 조직위원장은 “쾌적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준비했다고 이해하고 있었다”며 당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패럴림픽이라고 문제가 크게 개선된 것처럼 보이진 않는다. 장애인 선수들은 성적도 성적이지만 안전 문제가 가장 중요하다. 비장애인들에게 아무렇지 않은 사소한 요소일지라도 장애인들에게는 자칫하면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누구 하나 다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되는 선수단으로서는 하루하루 불안한 마음으로 무사고를 기원하며 대회를 치르고 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