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안전은 환상”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파쿠르를 하는 까닭

“안전은 환상”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파쿠르를 하는 까닭

김형우, 박홍규, 문성호 기자
입력 2020-12-04 16:02
업데이트 2020-12-04 17: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기 급상승 크리에이터] 한국 파쿠르 1세대·아시아 최초 파쿠르 코치, ‘파쿠르 장인 김지호’


“파쿠르를 할 때 장애물을 극복하면서 자기 확신을 얻게 되는데요. 인생의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긍정할 수 있게 하는 힘을 주는 것 같아요.”

한국 파쿠르 1세대이자 아시아 최초 파쿠르 코치. 최근에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파쿠르 대중화에 힘쓰고 있는 김지호(33)씨에게 파쿠르는 인생 그 자체다. 고등학생 시절 컴퓨터 중독과 우울증에 시달리던 그는 영화 ‘야마카시’를 통해 처음 파쿠르를 접하고 새로운 삶을 살게 됐다. 영화를 보고 나서 학교 구령대로 뛰어나가 난간을 뛰어넘었을 때, 태어나 처음으로 심장이 뛰고 있으며 자신이 이 세상에 살아있음을 느꼈다고 한다.
‘파루크 제너레이션즈 코리아’ 대표 김지호(33)씨가 파쿠르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파루크 제너레이션즈 코리아’ 대표 김지호(33)씨가 파쿠르 기술을 선보이고 있다.
파쿠르는 특별한 도구나 장비 없이 맨몸을 이용해 장애물을 극복하는 운동이다. 프랑스어로 ‘길’, ‘여정’이란 의미를 담고 있다. 장애물을 넘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는 과정 가운데 자기 신뢰를 경험하는 움직임의 예술이자 일종의 수련이기도 하다.

하지만 국내에서 파쿠르를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 않다. 위험하며 다치기 쉽다는 인식 때문이다. 김씨는 그런 상황이 안타깝기만 하다.
김지호씨의 손. 손을 덮은 굳은살이 눈에 띈다. 박홍규 기자 gophk@seoul.co.kr
김지호씨의 손. 손을 덮은 굳은살이 눈에 띈다. 박홍규 기자 gophk@seoul.co.kr
“모든 운동은 위험하고 부상을 당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영국의 한 통계에 따르면, 파쿠르의 부상률은 승마나 축구에 비해 낮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 전체는 위험의 연속입니다. 안전이란 건 환상입니다. 우리가 안전이라고 느끼는 것은 사실 우리가 감수할 수 있는 위험이 습관이 되고 익숙해졌을 때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파쿠르는 적극적으로 위험을 감수함으로써 실제 위급한 상황이 닥쳤을 때 위험을 능수능란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줍니다.”

반면 해외에서 파쿠르는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018년 12월 국제체조연맹(FIG)이 파쿠르를 8번째 기계체조 종목으로 지정한 데 이어 2024년 파리올림픽의 정식 종목 지정도 추진 중이다. 스포츠잉글랜드에 따르면, 영국에서는 파쿠르가 국가 지정 스포츠로 2017년에 지정됐고 파쿠르 활동을 하는 인구는 약 10만 명에 달한다. 연령층도 5세 미만의 영유아부터 60~70대 어르신들까지 다양하다. 덴마크는 학교 정규과정에 파쿠르가 포함돼 있고 파쿠르 공원만 200개가 설치되어 있다.

“한국에는 아직 파쿠르 공원 자체가 없어요. 단지 파쿠르 수련자들의 잘못으로 치부하기보다는 파쿠르라는 장르를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적인 관점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파쿠르 공원이 하나라도 있다면 파쿠르 수련자들이 굳이 옥상으로 갈 필요 없이 안전하고 재미있게 파쿠르를 할 수 있겠죠.”
이미지 확대
‘파쿠르 제너레이션즈 코리아’ 대표이자 한국 파쿠르 1세대 김지호씨. 김형우 기자 hwkim@seoul.co.kr
‘파쿠르 제너레이션즈 코리아’ 대표이자 한국 파쿠르 1세대 김지호씨. 김형우 기자 hwkim@seoul.co.kr
파쿠르 제너레이션즈 코리아의 대표이기도 한 김씨는 국내에 파쿠르를 보급하고자 열심히 뛰고 있다. 파쿠르 수업을 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파쿠르 전용 운동화 브랜드 ‘트라세’도 만들었다. 올해나 내년 출간을 목표로 최근에는 국내 최초의 파쿠르 책을 쓰고 있다고 김씨는 귀띔했다. 파쿠르에 관한 기술 등을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 ‘파쿠르장인 김지호’도 파쿠르를 알리기 위한 활동의 일환이다. 물론 이런 것들은 파쿠르 그 자체를 즐기는 자신의 모습을 무언가로 남기고 싶어서이기도 하다.

“‘나의 수련, 나의 훈련 모습들을 일기장처럼 영상 기록물로 남겨보자’ 생각했어요. 먼 훗날 20~30년 후에 지금 이 순간의 나를 되돌아보면 큰 의미가 있겠죠.”

글 김형우 기자 hwkim@seoul.co.kr
영상 박홍규·문성호·김형우 기자 gophk@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