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요칼럼] 장서가라는 별난 취미/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금요칼럼] 장서가라는 별난 취미/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입력 2020-05-07 23:02
업데이트 2020-05-08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조선 후기에는 장서가의 취미를 가진 부자가 많았다. 그들은 열심히 책을 모으기는 했으나, 별로 열심히 읽지는 않았다고 한다. 어떤 시인은 이런 세태를 조롱하는 시를 쓰기도 했다.

‘새로 꾸민 만권 서적, 힘센 소도 무거워 땀 흘릴 지경이네/그저 쌓아 두었다네, 화려한 집에 책상도 정갈하군/그러나 아까워라, 평생 한 번도 읽지 않으니!/이웃이 잠깐 빌려 볼 수 없다고 하네.’

서재에 멋진 책상을 들여놓고 값비싸고 귀한 서적을 책장에 차곡차곡 쌓아 둔 풍경이 눈앞에 전개되는 것 같다. 만권 또는 2만권의 책을 소장한 부자들이 방방곡곡에 있었다니 흥미롭지 않은가. 18세기의 이름난 독서가 이덕무의 손자인 이규경은 장서가의 풍습을 자세히 서술했다.

그 시절의 장서가는 거금을 들여 책을 사들인 다음, 서고에 깊숙이 감춰 뒀단다. 주인도 책을 읽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일도 좀체 없었다. 한참 세월이 흐른 뒤 서고의 책에는 좀이 슬거나 군데군데 쥐가 갉아먹은 곳이 생기기도 했다. 그럴 때쯤 종들이 주인 몰래 책을 훔쳐서 팔아먹었다. 그리하여 완질(完帙)을 갖춘 책이 드물었단다.(‘오주연문장전산고’ 경사편 4)

부자들은 정말로 책을 읽지 않았을까. 쉬 판단하기 어려운 일이라 생각한다. 그런 불평을 늘어놓은 이규경만 해도 이름난 장서가였고 엄청난 독서가였다. 그때는 대궐에도 수만권의 도서가 쌓여 있었다. 지식의 양적 팽창은 이전 시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눈부셨다. 분야마다 저술이 넘쳐났고, 덕분에 부지런하고 호기심이 강한 선비들이 ‘유서’(類書)라고 불리는 일종의 백과사전을 펴냈다. ‘동국문헌비고’, ‘임원경제지’, ‘오주연문장전산고’의 등장이 증명하는 바다.

하건마는 책을 모으기만 하고 잘 읽지 않는다는 비판은 계속됐다. 유난히 책을 사랑한 정조는 이런 식으로 탄식했다. 창덕궁의 열고관(閱古觀)에 소장된 도서는 6만~7만권가량인데, 조정 신하 중에서 장서가로 이름난 이들도 4만권 이상 가진 이가 없다. 책을 가장 많이 읽었다는 사람도 열고관의 책을 전부 다 읽지는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열고관의 도서를 임의로 한 권 뽑아서 내용을 물어본다면 제대로 대답할 사람이 과연 있을까 모르겠다고, 왕은 아쉬워했다.(‘홍재전서’ 제162권)

열고관은 창덕궁 주합루 남쪽에 있다. 2층짜리 왕립도서관인 셈인데, 그 북쪽에는 개유와(皆有窩)라는 또 다른 서고가 있다. 열고관과 개유와에 중국에서 수입한 도서를 소장했다. ‘도서집성’(5000권)을 비롯해 수십종의 귀중본이 거기에 간수됐다. 한편 열고관의 서편에는 국내 서적을 비치한 서고도 있었다.

일반 대중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은 아직 없었다. 그러나 왕실을 비롯해 각지의 부자들이 책을 구입해 보관하는 데 정성을 쏟았으니 나무랄 일이 결코 아니었다. 그들이 책을 읽지도 않고 빌려주지도 않았다는 비판이 쏟아졌으나, 크게 과장된 말이었으리라고 본다.

그 시절의 장서가처럼 여유롭고 한가한 사람은 다시 없었다. 시간이 흐르자 그들 집안에서 학자들이 쏟아져 나왔다. 구한말의 우국지사 매천 황현도 조부가 물려준 재산이 있었기에 학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 혜강 최한기의 경우는 더더욱 그러했다. 그는 물려받은 재물을 몽땅 털어서 서양 사정을 기술한 청나라의 신간을 구했다. 날이 갈수록 가세는 기울었으나, 시대의 흐름을 꿰뚫는 그의 혜안은 더욱 형형하였다.

오늘날에도 장서가라고 할 만한 사람이 없지 않으나, 시대적 추이로 미뤄 이런 사람들은 곧 사라질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그들이 애장한 서적만 따로 모아서 전문 도서관이라도 만들어 두면 어떨까. 우리 문화의 기반이 더욱 튼튼해질 것이다.
2020-05-08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