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ASF 초기 대응 혼선…한국형 대책은?

ASF 초기 대응 혼선…한국형 대책은?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4-27 14:52
업데이트 2020-04-27 14: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생 멧돼지 ASF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아프리카 돼지열병(ASF)대응 인력 부족과 지형이 상이한 해외 사례 도입 등으로 초기 방제에 혼란이 불가피했다”
환경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 이동 차단을 위해 설치한 광역 울타리 현황. 환경부 제공
환경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 이동 차단을 위해 설치한 광역 울타리 현황. 환경부 제공
환경부가 27일 서울 용산 KDB 생명타워에서 개최한 ‘야생 멧돼지 ASF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방제 당국의 대응 조치 등에 대한 지적이 잇따랐다. 토론회는 ASF 양성 멧돼지 증가 및 장기화에 따른 한국형 대응 수립을 위해 마련됐다.

ASF 감염 야생 멧돼지는 지난해 10월 3일 경기 연천 비무장지대에서 첫 확인된 후 현재 550개체로 급증했다. 발생지역은 올해 강원 화천과 양구·고성, 경기 포천 등으로 확산돼 총 7개 지역으로 늘었다. DMZ를 포함한 민통선 이북 272개체, 민통선 이남 278개체다. 지역별로 경기 연천 213개체, 파주 91개체, 포천 1개체, 강원 철원 28개체, 화천 211개체, 양구 3개체, 고성 3개체 등이다.

조호성 전북대 교수는 “산악지역과 지뢰가 매설된 비무장지대와 민통선 등 접경지대에서 발생해 멧돼지 사체를 찾거나 포획하는 것이 어려웠다”며 “우리나라만의 대응 방식이 필요하고 환경부 주도의 야생동물 질병 통제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생태원 김영준 실장은 야생 멧돼지 ASF 지역별 대응 방향에 대한 주제 발표에서 “민북지역과 높은 산악지역 등은 근절불가지역이고 북한 및 비무장지대도 통제가 안되면 지속적인 발생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어 “멧돼지 생태연구를 통한 과학적인 접근이 요구된다”면서 “소규모인 2차 울타리는 주기적 점검과 트랩 설치 등을 통한 밀도 저감이 필요하다”고 권했다.

한편 환경부는 토론회에서 제시된 의견을 검토해 야생 멧돼지 ASF 종합대책에 반영한다는 계획이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