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부 “코로나 재확산하는 싱가포르 보라…방심은 절대 금물”

정부 “코로나 재확산하는 싱가포르 보라…방심은 절대 금물”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4-14 13:33
업데이트 2020-04-14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싱가포르 코로나19 확진자 일일 추이 그래프.  존스홉킨스대학 코로나19 자원 센터
싱가포르 코로나19 확진자 일일 추이 그래프.
존스홉킨스대학 코로나19 자원 센터
방역 모범국으로 꼽히던 싱가포르에서 개학 등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한 것과 관련해 정부가 “절대로 방심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신규 확진자가 계속 줄어들고 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전으로 돌아가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신규 확진자 수를 두 자릿수 이하로 유지하여 방역 모범국가로 꼽히던 싱가포르에서는 최근 집단감염이 발생해 신규 확진자가 5일간 연속 세 자릿수로 증가하고 있다”며 “우리도 해외유입이 꾸준히 증가하고 경로를 알 수 없는 지역사회 감염과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어 절대로 방심해서는 안 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싱가포르에서는 학교 개학 이후 확진자가 늘어나더니 전날에는 하루 신규 확진자가 400명에 육박하는 등 코로나19가 무섭게 확산하고 있다.
책상 양옆으로 떨어져 앉아 수업을 받는 싱가포르 초등학생들.  옹 예 쿵 교육부장관 페이스북
책상 양옆으로 떨어져 앉아 수업을 받는 싱가포르 초등학생들.
옹 예 쿵 교육부장관 페이스북
윤태호 반장은 “지금이 코로나19를 확실히 줄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고비”라며 “방역당국이 통제 밖에 있는 경로 미상의 코로나19 감염을 없앨 수 있다면 우리 사회는 상당 기간 안정적으로 코로나19를 통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방역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전날 하루 국내에서 새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는 27명이다. 일일 신규 확진 규모는 방역당국 발표일 기준으로 6일과 7일 각각 47명, 8일 53명, 9일 39명, 10일 27명, 11일 30명, 12일 32명, 13일 25명으로 닷새째 20∼30명 선에서 머물고 있다.

정부는 총선일에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투표소를 찾고 이후 봄날을 즐기려 나들이 명소로 몰릴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가 사실상 무력화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윤태호 반장은 “투표 권리를 꼭 행사하되 투표 후에는 곧바로 귀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미지 확대
사전투표 마지막 날 ‘투표 전 손 소독부터’
사전투표 마지막 날 ‘투표 전 손 소독부터’ 제21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11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역 대합실에 마련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손 소독제를 사용하고 있다. 2020.4.11
뉴스1
이번 총선에서 모든 유권자는 투표소에서 발열체크를 받고, 소독제로 손을 소독한 후 선거 사무원이 나눠주는 일회용 비닐 위생장갑을 양손에 착용해야 한다. 비닐장갑은 투표 절차를 모두 마치고 나오면서 출구에 마련된 함에 버려야 한다.

정부는 총선 공휴일에 가정 내 일상적인 공간을 청소하고, 손이 자주 닿는 물건과 장소는 소독제 티슈, 알코올 등을 사용하여 소독해달라고도 권고했다.

윤태호 반장은 “일교차가 커 환기를 자주 하지 않는 시기인 만큼 문과 창문을 열어 자연환기를 해주실 것을 권한다”면서 “환기를 하면 실내 공기 중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들어있는 침방울의 농도를 낮출 수 있고,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물건이나 장소를 소독하면 손을 통해 전염될 가능성도 작아지게 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 ‘생활방역’으로의 전환을 준비하면서 ‘한 주 한 번 소독 아침저녁 환기’ 등 5가지를 생활방역 핵심수칙으로 제시하고, 국민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