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정혜경 지음/섬앤섬/368쪽/2만원
한일 양국이 당면한 과거사 청산의 해법은 피해의 정확한 파악과 책임이고 그 둘은 동전의 양면처럼 맞물려 있다. 하지만 피해자의 목소리만 분출할 뿐 가해자의 책임은 실종된 채 외면과 무시만 요란하다. 그 피해를 고발하고 책임을 묻는 책이 나란히 출간됐다. 양국 지식인들이 쓴 ‘책임에 대하여’와 일본 침략 전쟁기 피해에 천착해 온 한국 학자가 펴낸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 모두 녹록지 않은 인식의 깊이를 보여 준다.
‘책임에 대하여’는 일본 식민주의·군군주의의 폭력 직시를 줄기차게 호소해 온 양국 지식인의 대담집. 대화는 현대 일본의 가면과 본성 폭로로 압축된다. 위안부 문제며 오키나와 미군기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일왕제의 모순을 관통하며 급격히 진행 중인 일본의 퇴행과 위기를 신랄하게 파헤친다. 두 사람은 1945년 패전 이후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는 과거의 식민주의, 군국주의, 제국주의라는 일본의 본성을 덮은 ‘도금’일 뿐이라고 잘라 말한다. 지난 20여년간 일본이 보인 우경화와 과거사 인식의 퇴행은 바로 전후 민주주의의 껍질이 벗겨지면서 드러난 본성이라는 것이다. 두 사람은 일본의 폭력에 희생된 오키나와와 위안부 피해자가 목소리를 내는 게 특정 집단·민족의 입장만 내세운 내셔널리즘이라고 말하는 일본 리버럴파도 겨냥한다. 그러면서 정치적 반동 국면에 저항하고 동북아 평화를 추구하는 양국 시민들의 연대를 강력히 호소한다.
‘아시아태평양전쟁에 동원된 조선의 아이들’은 일본 침략 전쟁기 조선의 최약자층인 미성년자의 피해 사례와 증언을 통해 징용·징병 등 강제 동원의 피해가 어른들만의 고통이 아니었음을 들춰내 충격적이다. 저자는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조사 지원위원회에서 조사과장을 지냈다. 그에 따르면 강제 동원 피해자로 판정된 21만 8639건 가운데 최저연령 사망자는 아홉 살 소녀였다. 가족조차 기억 못하는 어린 아동의 강제 동원은 한두 건이 아니고 수족 절단과 실명 등 사연들도 처참했다.
저자는 “아동 사망자를 불효자라고 호적에도 올리지 않던 당시 상황을 볼 때 아동 피해자 규모는 상상 이상일 것”이라고 했다. 특히 1919~1945년 국제노동기구(ILO) 미성년 노동제한 규정을 비준한 일본은 15세 미만 어린이에게 일을 시켜선 안 됐다고 잘라 말한다. 그러면서 ‘지구상 최초의 원폭국’이라는 피해자 코스프레는 이율배반이라고 꼬집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9-08-09 3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