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與 차기 당권 어디로?…권력분점·외부 또는 중도파 추대론까지

與 차기 당권 어디로?…권력분점·외부 또는 중도파 추대론까지

입력 2016-04-19 13:37
업데이트 2016-04-19 13: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박 원내대표-친박 대표’의 투톱 이원집정부제 방식 거론

4·13 총선 참패에 따른 새누리당 갈등을 봉합하기 위해 당을 이끄는 투톱인 대표와 원내대표를 양대 계파가 각각 나눠서 맡아야 한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비박(비박근혜)계가 원내사령탑으로서 ‘내치’를 담당하고, 친박(친박근혜)계가 당권을 쥠으로써 ‘외치’를 맡는 방식으로 이원집정부제 형태의 이른바 ‘권력 분점론’이다.

한 친박 핵심 의원은 1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가뜩이나 당이 어수선한데 원내대표 경선과 전당대회를 거치면 또다시 계파 갈등이 고조될 것”이라면서 “총선 패배의 원인도 당 내홍에 있었던 만큼 사전에 분란의 소지를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를 위해 비박계가 원내대표를 맡아 대야 협상을 주도하고, 박근혜 정부 탄생의 주역인 친박계는 당권을 잡고 안정적으로 정권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표, 원내대표 선출을 놓고 계파간 무한 갈등이 예상되는 만큼 경선 전 미리 역할 분담을 통해 당내에서 ‘협치’를 구현함으로써 과거 일방통행식 폐쇄적 당 운영의 문제도 해소하고, 양대 계파가 책임도 나누자는 것이다.

당권 도전 의사를 밝힌 친박계 이정현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우리 당이 가장 매를 많이 맞은 것 중 하나가 정당 구조가 권력에 줄을 대는 수직적 질서에 있다”면서 “당을 수평적 질서로 재편해 국민 요구에 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일각에서는 계파 갈등을 소지를 없애기 위해 당 대표를 합의 추대하는 방안도 제기하고 있다.

유력 당권 주자였던 최경환 의원이 총선 패배 책임론에 휩싸여 있고, 비박계에서는 마땅한 당권 주자가 없는 만큼 외부의 명망가를 영입해 화합 속에 당 재건을 도모하자는 논리다.

친박계 정우택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총선 참패 책임론을 중구난방 따지거나 차기 당권을 놓고 이전투구 할 때도 아니다”라면서 “누구에게 책임을 돌리고 차기 당권경쟁에 나설 것이 아니라 철저한 반성과 참회를 먼저 하고 국민과 당원의 용서를 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김수한 전 국회의장,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같은 원로 정치인이나 김능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장,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석연 전 법제처장,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정치권 밖의 인사들도 거론된다.

다만 차기 당 지도부는 임기 2년에 대권 경선을 관리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합의 추대론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고위 당직자는 “한시 기구라면 몰라도 거대 보수 정당을 이끌어야 하는데 외부 인사에게 맡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반대했다.

또 오히려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기보다는 치열한 노선 투쟁을 통해 국민에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게 당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고 총선 패배의 충격에서 벗어나 조속한 당의 재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에 따라 당내에서는 친박계로 분류되지만 계파색이 상대적으로 옅은 이주영 의원(20대 국회 기준 5선)의 계파를 초월한 당내 신망이나 대외적 이미지 등을 고려해 유력한 당 대표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비박·중립 성향으로 갈 경우에는 정병국(5선) 나경원(4선) 의원 등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