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포스트 반기문’ 선출 더 투명하게… 70년 역사상 첫 공개유세

‘포스트 반기문’ 선출 더 투명하게… 70년 역사상 첫 공개유세

오상도 기자
입력 2016-04-14 02:02
업데이트 2016-04-14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엔, 후보자 8명 청문회

“양성 평등을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유네스코의 첫 여성 수장으로 7년간 일해온 제가 힘을 보태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역사적인 순간
역사적인 순간 유엔 창립 70년 만에 처음으로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 신탁통치이사회 회의실에서 차기 사무총장 후보의 청문회가 진행되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유엔본부 신탁통치이사회실. 불가리아 국적의 이리나 보코바(63)의 목소리에는 힘이 실렸다. 영어와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등을 번갈아 구사하며 자신의 강점을 부각했다.

지역 안배 차원에서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이어 동유럽에서 차기 유엔 사무총장이 나와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10여 분간의 정견 발표는 회의실을 메운 193개 회원국 대표들을 상대로 이어졌다. 이후 2시간 동안 이곳저곳에서 각국 대표들의 송곳 같은 질문이 쏟아졌다. “국제사회가 직면한 테러 위협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등 현안과 관련된 질문이었다. 이 모습은 유엔 홈페이지를 통해 생중계됐다.

이미지 확대
12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유엔 차기 사무총장 후보 청문회가 열린 가운데 유력 후보로 꼽히는 불가리아의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정견을 발표하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12일(현지시간) 사상 처음으로 유엔 차기 사무총장 후보 청문회가 열린 가운데 유력 후보로 꼽히는 불가리아의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정견을 발표하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유엔 차기 사무총장을 뽑기 위한 역사적인 후보자 청문회가 막을 올렸다. 내년 1월 임기가 끝나는 반기문 사무총장의 후임자를 가리기 위한 이날 청문회는 창립 70년 만에 처음으로 열렸다. 밀실회의를 거쳐 사무총장을 뽑던 관행을 타파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사흘 일정으로 치러지는 행사의 첫날에는 8명의 후보자 중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을 비롯해 몬테네그로의 이고르 룩시치(39) 외교장관, 포르투갈의 안토니우 구테레스(66) 유엔난민기구 전 사무총장 등 3명이 연단에 올랐다.

총리를 지낸 최연소 후보자인 룩시치는 모국인 몬테네그로가 다인종 국가라는 점을 앞세워 검증된 지도력을 강조했다. 지난해 말까지 유엔난민기구를 이끌던 구테레스도 7년간 포르투갈 총리를 지낸 국정 운영 경험을 앞세웠다. 그는 열정적 동작과 목소리로 청중을 휘어잡았다.

유엔총회는 13일에는 슬로베니아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다닐로 튀르크(64) 전 대통령, 크로아티아의 페미니스트 지도자인 베스나 푸시치(63) 전 부총리, 몰도바 첫 대통령의 딸인 나탈리아 게르만(47) 부총리의 청문회를 연다. 마지막 날인 14일에는 마케도니아의 스르잔 케림 유엔총회 전 의장과 뉴질랜드의 헬렌 클라크(66) 전 총리가 등장한다.

영국 더타임스는 8명의 후보자 중 보코바 총장과 구테레스 전 총장, 클라크 전 총리 등을 유력 후보군으로 꼽았다. 이 중 보코바 총장에 가장 무게가 기울었다. 후보자 6명이 동유럽 출신, 절반인 4명이 여성인 가운데 교집합을 이룬 덕분이다.

하지만 지난해 팔레스타인의 유네스코 가입을 성사시켜 미국에 미운털이 박힌 게 발목을 잡고 있다. 그만큼 5개 안보리 상임이사국의 입김은 여전히 막강하다.

비상임이사국까지 모두 15개국으로 이뤄진 안보리는 오는 7월까지 회원국을 상대로 후보자 평가를 들은 뒤 9월쯤 최종 후보 1명을 낙점할 예정이다. 유엔총회 인준은 11월 이뤄진다.

변수도 있다. 케빈 러드 전 호주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등이 새롭게 후보군으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유엔 사무총장 후보는 올해 중반까지 입후보가 가능하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6-04-14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