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찰총국 대좌 망명·종업원 집단 탈북…탈북민 올 1분기 17.5% 증가

정찰총국 대좌 망명·종업원 집단 탈북…탈북민 올 1분기 17.5% 증가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4-12 16:19
업데이트 2016-04-12 16: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집단 탈출
북한 해외식당 종업원 집단 탈출 북한 해외식당에서 근무하는 종업원 13명이 집단 탈출해 7일 국내 입국했다. 사진은 해외식당에서 공연하는 북한 종업원들. 2016.4.8 [연합뉴스 자료사진]
최근 북한의 대남공작 담당 정찰총국 대좌가 망명하고 해외식당 종업원 13명이 집단탈북하는 등 북한 엘리트층의 체제 이탈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감소 추세였던 일반 주민의 탈북도 증가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민생 피례가 원인이라고 분석했고, 통일부는 일시적인 증가라며 판단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12일 통일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에 입국한 탈북민의 수는 모두 342명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291명)보다 17.5% 증가했다.

2011년 김정은 체제 출범 이후 국내 입국 탈북민의 수가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은 이번이 사실상 처음이다.

2009년 2914명까지 늘었던 국내 입국 탈북민 수는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국경단속 및 감시를 강화하면서 2011년 2706명, 2012년 1502명, 2013년 1514명, 2015년 1397명, 2015년 1276명으로 감소해 왔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남성 탈북민이 지난해 1분기 50명에서 올해 77명으로 54.0% 급증했다는 점이다. 같은 기간 여성 탈북민은 241명에서 265명으로 10.0% 늘어나는데 그쳤다.

지난 수년간 남성 탈북자의 입국은 꾸준히 감소세를 보였다. 고정된 직장을 가진 남성들은 여성보다 훨씬 통제가 심한데다, 국경을 넘은 뒤 중국에서 한국행 비용을 모으기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따라서 남성 탈북민의 증가는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대북 소식통들은 강조한다.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는 데서부터 국내 입국까지 걸리는 시간을 감안할 때 올 들어 입국한 탈북민 상당수는 지난해 말이나 올해 초 탈북을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지난해 8월 한반도 위기 상황, 10월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행사 준비, 올해 5월 제7차 당 대회와 관련한 노력동원이 이어지면서 민생이 피폐해진 것이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기념행사 참석과 모란봉 악단의 베이징 공연 취소 소동 등으로 북·중 관계가 얼어붙으면서, 중국 정부가 탈북자를 적극적으로 색출하던 과거 관행에 변화를 줬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 정부는 북한식당 종업원 13명의 집단탈북과 관련해서도 출국 사실을 확인하면서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다’는 뉘앙스를 풍겼지만, 알고도 모르는 척 북한 종업원들의 제3국행을 묵인했을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이런 관측이 맞다면 북·중 국경을 넘은 뒤 동남아시아 제3국을 거쳐 한국에 들어오는 탈북 루트가 다시 활성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 이렇게 되면 올해 3분기께 3만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됐던 국내 정착 탈북민의 수가 3만명 선을 넘는 시점이 다소 앞당겨질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일시적인 증감일 수도 있다. 아직은 판단을 내리기 이른 시점”이라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