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웃긴 세상, 웃기다고 말하는 게 뭐”

“웃긴 세상, 웃기다고 말하는 게 뭐”

입력 2013-12-24 00:00
업데이트 2013-12-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연극 ‘레드 채플린’ 극작가 겸 배우 오세혁

눈을 동그랗게 뜨고 얼굴 근육을 씰룩거리는 표정, 뒤뚱뒤뚱 걷는 동작까지 영락없는 찰리 채플린이었다. 지난 12일 막을 올린 연극 ‘레드 채플린’의 희곡을 쓴 극작가 오세혁(32)은 직접 주인공 찰리 채플린으로 분했다. 1950년대 매카시즘의 희생양이 된 그는 꿈 속에서 여행을 떠난다. 시공을 초월해 도착한 1930년대 조선에서 만담가 신불출을 만나 동병상련을 느끼지만 그 역시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남한, 북한에서도 자유롭지 못함을 목격한다. “웃음을 만들어 내는 예술가들은 상대가 누구라도 마음껏 웃음의 대상으로 삼을 자유가 있어야 한다고!” 얼굴에서 웃음기를 걷어내고 신불출을 나무라는 채플린의 얼굴에서 언뜻 오세혁의 잔영이 비친다.

이미지 확대
표현의 자유를 찾아 꿈 속에서 여행을 떠나는 찰리 채플린의 여정을 그린 연극 ‘레드 채플린’. 희곡을 쓰고 직접 주인공 채플린 역을 맡은 극작가 오세혁(가운데)은 “웃긴 걸 웃기다고 하는 게 뭐가 문제야?”라고 속 시원히 외친다.
표현의 자유를 찾아 꿈 속에서 여행을 떠나는 찰리 채플린의 여정을 그린 연극 ‘레드 채플린’. 희곡을 쓰고 직접 주인공 채플린 역을 맡은 극작가 오세혁(가운데)은 “웃긴 걸 웃기다고 하는 게 뭐가 문제야?”라고 속 시원히 외친다.
공연을 마친 오세혁을 만났다. 얼굴의 흰 분장을 지우고 콧수염을 떼자 비로소 그의 얼굴이 드러났다. 그에게 ‘레드 채플린’의 동기를 묻자 “작품을 쓰면서 좀 화가 나 있었다”고 운을 뗐다. “세상이 갈수록 이게 아니면 저거라는 흑백논리에 빠지는 것 같아요. 전 사람들에게 힘이 되는 연극, 웃긴 세상을 웃기다고 말하는 연극을 하고 싶을 뿐이에요. 그런데 제 연극이 자신들의 편에 서기를 요구하는 시선에는 화가 납니다.”

그의 연극은 ‘평범한 사람들을 보듬는 희극’이다. 소시민들의 잃어버린 꿈을 끄집어낸 ‘홀연했던 사나이’, 노동자 탄압과 비정규직 문제를 다룬 ‘그와 그녀의 옷장’,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 속에서 우정을 지키는 친구들의 삶을 그린 ‘세상 무슨 일이 있어도 난 널 지켜줄 거야 친구야’ 등은 이 시대를 사는 사람들의 고달픈 삶을 진한 페이소스와 웃음으로 감싸안는다. 찰리 채플린이 미국의 자본주의(‘모던 타임즈’)와 나치 독일의 전체주의(‘위대한 독재자’) 모두를 비판했듯 그 역시 어느 편에도 서지 않고 “웃긴 것을 웃기다고” 풍자하고 꼬집는다.

“전 사람을 보지 진영을 보진 않아요. 그저 열심히 사는 사람들, 올바른 대우를 받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연극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 ‘왜 그런 걸 하느냐’, ‘이런 문제를 다뤄야 하지 않나’ 하는 이야기를 들어요.” 비정규직, 자본주의 등에 관한 연극을 하다 관객이 아이스크림을 던지는 모습도 보고, 노조 간부들의 관성적인 모습을 풍자했다가 아쉬운 소리를 듣기도 했단다. 배꼽 잡는 희극을 해 온 그가 이번만큼은 ‘쓴웃음’을 짓게 만드는 희극을 시도한 것도, 직접 배우로 출연한 것도 “하고 싶은 말을 속 시원하게 하고 싶어서”였다.

대학에 다니던 2005년 선후배들과 극단 ‘걸판’을 만들고 작가와 연출 겸 배우로 전국을 돌며 마당극을 해 왔던 그는 2011년 서울신문과 부산일보 신춘문예에 동시에 당선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그가 운영하는 블로그의 필명은 ‘오플린’. 채플린에 대한 동경의 표현이다.

“어렸을 땐 채플린의 행동이 재미있었지만, 나중에는 자신의 영화에 제작사들이 투자를 거부하자 자기 돈으로 시대 비판적인 영화를 만들었던 정의로움이 와닿았습니다.”

올해 연극계에서 가장 바쁜 작가로 꼽힌 그는 내년에도 여전히 바쁘다. 리어왕과 돈키호테가 비내리는 광야에서 함께 산다는 내용의 ‘늙은 소년들의 왕국’, 브라질의 연극연출가 아우구스트 보알이 독재정권과 싸우는 게릴라에게 연극을 가르쳤던 실화를 다룬 ‘게릴라 씨어터’ 등을 준비 중이다.

희극이 비극과 조우하고, 연극이 생존의 수단일 정도로 치열한 상황을 그린다. 그는 자신을 ‘이야기꾼’으로 봐 주기를 바란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아 1년에 열두 편이라도 내놓고 싶다는 그에게서 ‘우리 시대의 채플린’을 기대해도 좋을 듯하다. 내년 1월 12일까지 서울 게릴라극장. 전석 3만원. (02)763-1268.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3-12-24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