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4) 익산 ‘가람’ 이병기선생 생가 탱자나무

[고규홍의 나무와 사람이야기] (4) 익산 ‘가람’ 이병기선생 생가 탱자나무

입력 2010-10-07 00:00
업데이트 2010-10-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유내강 ‘가람’의 삶 닮았네

“처음 여기에 올 때가 58년 전이에요. 선생님이 예순셋 되시던 해지요. 저 탱자나무는 그때에도 저렇게 별난 생김새에 꽤 큰 나무였지요. 세월이 많이 지났으니 조금 더 컸겠지만, 만날 보고 있으니 그리 큰 줄 모르겠어요.” 전북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에는 일제강점기 내내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온몸으로 맞서 싸웠던 시조시인 가람 이병기(李秉岐·1891~1968) 선생의 생가가 있다. 선생이 태어난 곳이며, 삶을 마친 곳이다. 대숲이 뒤란을 둘러싸고, 잘 자란 배롱나무·동백·산수유가 대문 앞 연못가에 늘어서있는 이 집은 전라북도 기념물 제6호로 보존된 문화재다.

옛집 한켠에 붙여서 새로 지은 집에는 이병기 선생의 셋째 며느리인 윤옥병(79) 할머니가 여섯 남매를 모두 대처로 내보낸 뒤, 홀로 살림을 꾸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가람 이병기 선생이 말년에 지낸 사랑방 앞 초가 정자 앞에 서 있는 탱자나무.
가람 이병기 선생이 말년에 지낸 사랑방 앞 초가 정자 앞에 서 있는 탱자나무.
“선생님이 이 집에 오셨을 때에는 거동이 어려우셨어요. 뇌졸중이었지요. 워낙 말이 없는 분이었는데, 탱자나무 앞의 사랑채에 머무르시면서 문을 열고 하염없이 탱자나무를 바라보시곤 했어요. 겨우 기동하셔도 멀리는 못 가시고, 나무 주위를 산책하시는 게 전부였지요.”

‘수우재(守愚齋)’라고도 불리는 이 집은 선생의 조부인 이조흥이 조선 후기에 이곳에 터를 잡고 처음 지었다. ‘ㄱ’자형 안채와 ‘1’자형 사랑채, 그리고 울타리 바깥에 초가로 지은 ‘승운정’(勝雲亭)이라는 이름의 정자로 이뤄진 단아한 양반 가옥의 전형이다. 대문 앞에는 작은 연못을 파고 그 주위로 향나무, 산수유나무, 배롱나무, 동백을 심어 시인의 고향 집다운 운치를 이뤘다.

●수려한 자태로 자란 탱자나무

어린 시절을 이 집에서 보낸 선생은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해방을 거치면서 내내 이 집을 떠나 살아야 했다. 오로지 우리말과 글을 지키는 데 헌신한 선생은 한글을 지키고, 우리 전통 문학 장르인 시조를 되살리기 위해 늘 분주했다. 마침내 1942년에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르기까지 했다. 어두운 시대를 살아야 했던 선생에게 고향 집은 그저 그리움의 대상일 뿐이었다.

선생은 여러 편의 시를 통해서도 고향 집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드러냈지만, 귀향의 꿈은 언제나 마음속에 묻고 지내야 했다. 이 집에 돌아온 것은 1957년, 길에서 창졸간에 맞은 뇌출혈로 활동이 어려워진 뒤였다. 지친 몸이 되어서야 선생은 그토록 그리던 집에 돌아와 사랑채에 머무르셨다. 그리고 십년쯤을 힘겹게 버틴 선생은 이 집에서 고단했던 이승에서의 마지막 숨을 거뒀다.

그 사랑채 곁에 초가 지붕을 얹은 소박한 정자, 승운정이 있고 그 앞에 독특한 생김새를 한 탱자나무가 한 그루 있다. 전라북도 기념물 제112호인 이 탱자나무는 이 집을 처음 지은 선생의 조부께서 심은 나무로, 200 살쯤 된 큰 나무다.

●진한 향기… ‘가람’ 생가 상징물로

“선생님이 특별히 더 좋아하신 건 아니지만, 나무가 예뻐서 모두가 귀하게 여긴 나무지요. 요즘 찾아오는 사람들도 이 탱자나무를 신기한 눈으로 보곤 해요. 탱자도 많이 열리지만 쓸 일은 별로 없지요. 그런데 이 나무에 열리는 탱자는 향이 강해서 특별하다고들 하네요.” 이병기 선생과 탱자나무에 얽힌 특별한 추억은 따로 없다면서도 윤 할머니는 이 탱자나무가 이병기 생가를 상징하는 자랑거리 가운데 하나임을 은근히 드러낸다. 노랗게 익어 가는 탱자를 바라보는 윤 할머니의 차분한 눈빛에는 지사 후손으로서의 기품이 담겼다.

열매의 쓰임새가 많지 않은 탱자나무는 나무 줄기와 가지에 돋는 날카롭고 억센 가시 때문에 생울타리로 많이 심어 키운다. 낮은 키에 옆으로 넓게 퍼지기 때문에 낮은 울타리로 이만큼 좋은 나무도 없다.

그런 탱자나무를 이병기 생가에서는 조경수로 심었고, 나무는 그렇게 이 집 사람들의 마음에 맞춰 순하게 자랐다. 물론 탱자나무가 조경수로 쓰인 예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모두가 독특한 경우라 할 수 있다.

여느 탱자나무가 뿌리 부분에서부터 여러 개의 줄기로 나누어져 자라는 것과 달리 하나의 줄기가 곧게 뻗어 오른 것부터 이병기 생가의 탱자나무는 독특한 모습이다. 하나로 뻗어 오른 줄기는 1.6m쯤 높이에서 6개의 가지로 나눠지면서 넓게 퍼져 둥근 형상의 수려한 모습을 갖췄다. 전체적인 키는 5m를 조금 넘게 자랐는데, 대개의 탱자나무가 3m 정도의 크기로 자라는 것에 비춰 보면 큰 나무에 속한다. 우뚝 선 줄기의 둘레는 60㎝나 되고, 좌우로 펼친 나뭇가지의 폭은 5m 나 된다.

사랑채 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서 자랐기에 보는 방향에 따라 나무의 분위기가 달라진다. 하지만 어느 쪽에서 바라보든 한눈에 탱자나무로 여기기 어려울 만큼 전체적으로는 부드러운 모습이다. 그렇다고 해서 탱자나무의 본성인 사나운 가시를 잃은 건 아니다. 나무에 가까이 다가서면, 무성하게 돋아난 탱자나무 특유의 억센 가시가 눈에 들어온다. 안으로는 강한 본성을 갖췄지만, 바깥으로는 부드러운 인상이다. 외유내강(外柔內剛)이라 해도 되지 싶다.

●자연의 지혜·이치 고스란히 담겨

윤 할머니께 인사를 올린 뒤, 탱자나무 앞의 모정(茅亭)에 걸터앉아 말년의 이병기 선생처럼 나무를 한참 더 바라보았다. 나무처럼 꼿꼿하게 살아온 삶을 마감한 이병기 선생의 가쁜 숨이 꿈결처럼 손에 잡힐 듯 느껴진다. 남달리 큰 탓일까? 다시 보니 탱자나무의 가시가 사나워 보이지 않는다. 나뭇가지 사이로 삐죽삐죽 솟아나온 가시들은 마치 ‘가갸거겨’처럼 어지러이 늘어놓은 한글 자모의 삐침들처럼 보이기도 한다.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나무는 그를 키우는 사람의 색깔과 분위기를 따라 분위기는 물론이고 생김새까지 바꾸어 나간다. 세상의 모든 나무에는 어우러져 살아가는 자연의 지혜와 이치가 고스란히 담긴다.

대개는 보잘것없는 울타리나무이지만, 이병기 선생의 생가에 터잡은 탱자나무는 온유한 외모에 강인한 정신을 갖춘 선생의 삶을 빼닮은 자태로 다시 태어났다. 한글날 다시 돌아보아야 할 나무인 까닭이다.

글 사진 익산 고규홍 나무칼럼니스트 gohkh@solsup.com

>>> 찾아가는 길

호남고속국도 익산 나들목으로 나가서 오른쪽 익산 방면으로 들어선다. 곧바로 나오는 익산의 보석박물관을 끼고 우회전해 왕궁저수지를 거쳐 4㎞ 정도 가면 연명교차로를 만나게 된다. 여기에서 오른쪽의 논산 연무 방향으로 접어든 뒤, 0.6㎞ 가서 신리로 빠져나간다. 1.3㎞ 직진하면 왼편으로 나오는 마을길로 좌회전하여 0.6㎞ 가면 길 끝에 이병기 생가 주차장이 나온다. 서울에서 갈 때는 천안~논산 간 고속국도의 연무 나들목을 이용해 찾아갈 수도 있다.

2010-10-07 2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