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지막이 글을 배운 시골 할머니들이 시집을 출간해 화제다.
주인공은 전북 군산시가 운영하는 늘푸른학교에서 한글을 배운 평균 나이 75세의 할머니들이다.
배우고 싶었지만 어려운 환경으로 배움의 뜻을 접어야 했던 할머니들은 최근 ‘할매, 시작(詩作)하다’라는 제목의 시집을 출간했다. 시집에는 뒤늦게 문해 교육을 받은 할머니들이 쓴 시 90여편이 담겼다.
‘내가 공부해서/가장 보람 있을 때는/몸이 아파 병원에 갈 때다//내과, 산부인과, 치과…/눈으로 병원 이름을 읽고/찾아갈 수 있는/이 편한 세상이 참 좋다’(76세 차길자 할머니의 시 ‘이 편한 세상’)
‘공부한다고 하네/공부한다고 하네/나혼자 설레이고 너무 좋았네/더 많이 배울거라서/기분이 좋네’(78세 문홍례 할머니의 시)
한 자 한 자 꾹꾹 눌러쓴 시에는 한글을 눈앞에 두고도 읽지도 못하고 까막눈으로 살아야 했던 서러움과 아픔, 칠십줄이 넘어 글을 배우게 된 설렘과 기쁨이 고스란히 담겨있다.
삐뚤빼뚤한 글씨, 군데군데 틀린 맞춤법. 서툰 구석이 많은 시지만, 오히려 그래서 시들은 더 빛난다. 그 자체가 할머니들의 굴곡진 삶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90세에 늘푸른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이정순 할머니(93)는 “(배운 내용을) 들으면 잊어버리지만, 선생님과 친구가 있다는 것에 외로움도 잠시 잊고 공부에 취해 하루하루 새로운 기쁨을 느끼고 있다”며 “학교가 낙원”이라고 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평생 배움에 대한 열망을 가슴에 품고 읽고 쓰지 못하는 아픈 시간을 견딘 600여명이 누구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며 “그 열망에 존경을 표한다”고 말했다.
늘푸른학교는 2008년 ‘비문해 제로(Zero) 학습도시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해 군산시 42개 읍면동에서 진행 중이다. 한글 교육 외에도 음악, 수학, 영어, 미술 등 다양한 수업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주인공은 전북 군산시가 운영하는 늘푸른학교에서 한글을 배운 평균 나이 75세의 할머니들이다.
배우고 싶었지만 어려운 환경으로 배움의 뜻을 접어야 했던 할머니들은 최근 ‘할매, 시작(詩作)하다’라는 제목의 시집을 출간했다. 시집에는 뒤늦게 문해 교육을 받은 할머니들이 쓴 시 90여편이 담겼다.
‘공부한다고 하네/공부한다고 하네/나혼자 설레이고 너무 좋았네/더 많이 배울거라서/기분이 좋네’(78세 문홍례 할머니의 시)
삐뚤빼뚤한 글씨, 군데군데 틀린 맞춤법. 서툰 구석이 많은 시지만, 오히려 그래서 시들은 더 빛난다. 그 자체가 할머니들의 굴곡진 삶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90세에 늘푸른학교에 다니기 시작한 이정순 할머니(93)는 “(배운 내용을) 들으면 잊어버리지만, 선생님과 친구가 있다는 것에 외로움도 잠시 잊고 공부에 취해 하루하루 새로운 기쁨을 느끼고 있다”며 “학교가 낙원”이라고 했다.
늘푸른학교는 2008년 ‘비문해 제로(Zero) 학습도시 조성’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해 군산시 42개 읍면동에서 진행 중이다. 한글 교육 외에도 음악, 수학, 영어, 미술 등 다양한 수업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