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니 통증은 조상의 식습관 변화 탓

사랑니 통증은 조상의 식습관 변화 탓

입력 2011-11-22 00:00
수정 2011-11-22 09: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많은 사람들이 사랑니 때문에 겪는 고통은 우리 조상이 생활 방식을 수렵ㆍ채취에서 농업으로 바꿔 먹는 음식이 달라졌기 때문이라고 라이브사이언스 닷컴이 최신 연구를 인용 보도했다.

영국 켄트 대학 연구진은 전세계 박물관에서 수집한 11개 인구 집단의 두개골을 분석해 식습관의 변화가 인류의 얼굴과 턱 구조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1일 온라인판 미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조사 대상인 11개 집단 가운데 5개 집단은 아프리카의 산족(부시맨)이나 알래스카, 그린란드의 이누이트족처럼 사냥과 채취, 고기잡이를 기반으로 한 생활방식을 가졌으며 다른 6개 집단은 농업에 의존해 살았다.

이미지 확대
연구진은 이들 집단이 어떤 음식을 주식으로 삼느냐에 따라 턱의 해부학적 구조에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수렵 채취민들은 전반적으로 농경민에 비해 턱뼈가 길고 좁았는데 이는 농경사회 사람들이 전분이나 조리된 재료 등 부드러운 음식을 더 많이 먹은 반면 수렵 채취민들은 가공되지 않은 날것을 더 많이 먹은 결과로 추측되고 있다.

연구진은 생활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턱운동의 양이 턱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며, 단단한 것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먹는데는 긴 턱이 더 적합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후기 산업시대의 많은 인류 집단에서 과밀치아와 부정교합의 사례가 많이 나타나는 현상은 바로 이런 식습관의 변화로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현대 사회인들의 턱이 짧아졌기 때문에 치아를 모두 수용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하고 그 결과 사랑니가 날 때 그처럼 아플 것이라고 연구진은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는 본질적으로 문화적 행동과 농경, 그리고 그것이 우리의 해부학적 구조에 미치는 영향 사이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