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 유혈시위] 사우디 ‘무바라크 감싸기’ vs 이란 ‘시위대 적극 지지’

[이집트 유혈시위] 사우디 ‘무바라크 감싸기’ vs 이란 ‘시위대 적극 지지’

입력 2011-01-31 00:00
수정 2011-01-31 00: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튀니지에서 시작된 중동의 민주화 운동 불길이 이집트를 덮친 가운데 중동의 각국 지도부는 이해관계에 따라 엇갈린 반응을 내놓았다.

우선 사우디아라비아는 시위대로부터 뭇매를 맞는 호스니 무바라크 이집트 대통령을 감싸고 나섰다. 압둘라 사우디 국왕은 29일(현지시간) 이집트 정부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면서 시위대의 약탈과 파괴행위를 비난했다고 사우디 관영 SPA통신이 전했다.

모로코에서 요양 중인 압둘라 국왕은 오전 무바라크 대통령과 한 전화통화에서 “일부 침략자들이 표현의 자유를 내세워 이집트의 치안과 안정을 파괴시키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집트 정부 및 국민과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압둘라 국왕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도 통화를 갖고 “이집트의 안정과 국민의 안전을 놓고 거래를 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사태를 예의 주시하고 있던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30일 “30년간 지속된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평화 협정은 유지돼야 한다.”며 시위 사태 이후 처음으로 입을 열었다.

1979년 이스라엘과 평화 협정을 맺은 이후 무라바크와 긴밀한 관계를 맺어온 이스라엘 입장에서는 현 정권이 물러나고 야권의 무슬림 형제단이 득세할 경우 양국 관계가 악화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반면 이란은 이집트의 반정부 시위를 적극 지지하고 나섰다. 이란 FNA통신에 따르면 외교부 대변인 라민 메흐만파라스트는 이날 “이집트 국민의 시위는 정의를 쟁취해 국민적·종교적 의지를 깨우치려는 움직임”이라고 밝혔다.

미국 등 서방 각국은 친미 성향의 무바라크 정권이 무너지면 무슬림 정치세력이 이집트 정권을 장악, 이란과 연대해 반미노선을 걸을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1-01-3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