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3년 란드셀을 고르는 소년

[DB를 열다] 1963년 란드셀을 고르는 소년

입력 2013-02-28 00:00
업데이트 2013-0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란드셀(randsel)은 등에 메는 초등학생용 통가죽 책가방을 말한다. 요즘 우리나라에서는 초등학생들이 란드셀보다 더 편한 등가방을 선호하지만, 일본에서는 아직 란드셀을 많이 쓴다고 한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특히 가방을 들고 다니기에는 팔심이 약한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란드셀은 필수품이었다. 란드셀은 가죽으로 만든 것도 있었지만, 값이 비싸 스펀지가 든 비닐 제품이 더 잘 팔렸다.

통가죽 란드셀 뚜껑에는 무궁화 같은 문양이 양각으로 새겨져 있었다. 란드셀은 메고 뛰어다녀야 어울리는 듯했다. 고정되지 않는 뚜껑은 펄럭거렸고 란드셀 안에 있던 필통과 연필들이 달그락거렸다. 입학을 앞두고 새로 산 란드셀은 학교에 가기 전까지 머리맡에 두고 잘 만큼 어린 마음에는 소중한 존재였다. 물론 모든 학생들이 다 란드셀을 메고 다닐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시골에서는 허리춤에 두르고 다니는 책보가 가방을 대신했다.

란드셀은 일본에서 전래된 가방이다. 원래는 네덜란드 말인 란셀에서 변화한 말이라고 한다. 네덜란드에서 병정들이 등에 짊어지고 다니는 배낭으로 사용했으며, 나폴레옹도 모방해서 썼다고 한다. 일본에는 막부시대에 전해졌고,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963년 2월 16일 촬영한 사진인데 가방 가게에서 란드셀을 골라 등에 멘 어린이가 흡족한 표정을 짓고 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2-2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