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年59.2㎏ 소비 ‘역대 최저’…하루에 밥 한 공기 반만 먹은 셈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1/30/SSI_2020013017114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1/30/SSI_20200130171148.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1/30/SSI_2020013018083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1/30/SSI_20200130180834.jpg)
●작년 1인당 하루 쌀 소비량 3.1% 줄어
지난해 국민 1명이 하루에 먹은 쌀의 양은 평균 162.1g으로 2018년(167.3g)보다 3.1% 줄었다. 밥 한 공기가 100g 정도임을 감안하면 하루에 한 공기 반 정도를 먹는 셈이다. 시중에서 팔리는 즉석밥 한 개의 용량(190~210g)에도 미치지 못한다.
쌀을 이용해 식료품과 음료를 만드는 업체의 쌀 소비량 역시 감소했다. 지난해 제조업에서 제품 원료로 쌀을 사용한 양은 74만 4055t으로 2018년(75만 5664t)보다 1.5% 줄었다. 특히 장류 제조업과 막걸리 등 탁주·약주 제조업 원료의 쌀 소비량은 전년 대비 각각 24.7%, 18.5% 감소했다. 반면 선식·누룽지·시리얼 등 제조업 부문의 쌀 소비량은 전년보다 24.2% 늘었다.
●간편식 대체 늘어… 오른 쌀값도 영향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지난해 쌀 소비량 감소율이 확대된 것은 선식과 같은 식사 대체용 가공식품 소비가 꾸준히 증가했기 때문”이라며 “군 부대에서도 장병 1인당 하루에 먹는 쌀을 올해 330g에서 300g 수준으로 줄일 정도로 젊은층의 쌀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음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지난해 쌀값이 연평균 12.2% 올라 찹쌀 등을 사용하는 장류 제조업체는 쌀 대신 밀가루를 사용하는 추세”라면서 “식품 배송 서비스 등 간편식이 늘면서 쌀을 대체하는 식품의 섭취가 증가한 것도 쌀 소비 감소의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0-01-3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