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임금인상 없는 경기회복…온·오프 능한 오모 사피엔스 등장”

“2018년 임금인상 없는 경기회복…온·오프 능한 오모 사피엔스 등장”

입력 2017-12-25 23:38
업데이트 2017-12-26 0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경제硏, 글로벌 트렌드 전망

내년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고 고용 사정도 나아지겠지만 임금은 오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5일 ‘임금 인상 없는 경기 회복’을 내년 글로벌 10대 트렌드 가운데 하나로 꼽았다. 연구원은 “주요 선진국 고용주들이 정규직보다 임금 수준이 낮은 임시직 고용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음식·숙박업 등 저임금 업종에서 일자리가 늘어나지만 양질의 일자리인 금융업과 제조업 일자리 회복 속도는 저조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미흡한 임금 상승은 근로자의 가처분소득 증가를 제약해 소비 부문의 성장을 둔화시키고 통화 긴축 속도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세계 경제대통령이 바뀌는 점에도 주목했다. 내년에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차기 의장에 제롬 파월이 취임한다. 연구원은 “파월이 온건한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 경제 성장 경로나 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성향에 따라 통화정책 기조가 바뀔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 중국, 러시아 등 ‘글로벌 스트롱맨’ 경쟁 격화도 내년 특징으로 꼽았다.

지금까지는 부채를 줄이는 ‘디레버리지’ 시대였다면 내년부터는 세계 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와 글로벌 투자 환경 개선 등으로 오히려 부채를 늘리는 ‘레버리지’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고도 내다봤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통합(Online Merges with Offline)이 가속화되면서 양쪽에 모두 능한 ‘오모(OMO) 사피엔스’가 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7-12-26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