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 만에 부른다… “오빠가 옳은가”

60년 만에 부른다… “오빠가 옳은가”

강병철 기자
입력 2015-10-20 23:02
업데이트 2015-10-21 0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북 금강산 이산가족상봉 첫날

잘 다린 셔츠와 베레모, 한껏 멋을 내고 ‘7번 테이블’에 정좌한 김남규(96)씨는 교통사고로 귀가 어두워져 함께 온 남쪽 가족들의 말을 제대로 알아듣지 못했다. 종이에 손바닥만 하게 쓴 글씨만 알아볼 정도로 시력도 쇠약했다. 그러나 반세기가 훌쩍 지나 다시 만난 여동생을 알아보기는 어렵지 않은 것 같았다. 주름진 얼굴에 눈물을 흘리며 오빠의 두 손을 잡은 북측 여동생 김남동(83)씨의 어깨를 김씨는 묵묵히 토닥거렸다. 그렇지만 김씨는 남동씨가 “오빠가 옳은가?(맞나?)”라고 울먹이는 소리는 알아듣지 못하는 듯했다. 세월의 틈은 김씨 남매의 극적인 재회에도 서로의 목소리를 듣는 건 허락하지 않았다.

이미지 확대
“여보~” 수줍은 재회
“여보~” 수줍은 재회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 1회차 첫날인 20일 오후 금강산면회소에서 열린 단체상봉에서 남측 이순규(왼쪽·85) 할머니가 북에 사는 남편 오인세(83) 할아버지를 만나 수줍은 듯 웃고 있다. 이순규 할머니는 1950년 7월 임신한 아이가 태어나기도 전에 오 할아버지가 열흘 동안 훈련에 다녀온다고 집을 나선 뒤 소식이 끊겨 생이별했다.
연합뉴스


20일 금강산에서 시작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지난해 2월 이후 1년 8개월 만에 재개된 것이다. 하지만 이날 만난 가족들 입장에서는 60여년 만에 이뤄진 재회다. 이날 남북 96가족이 상봉한 이산가족면회소에는 “오빠”, “아버지”, “살았구나, 살았어”라며 서로를 부르는 목소리로 가득 찼다.

아버지가 집을 떠난 뒤 태어난 남측 오장균(65)씨는 이날 처음 북에 사는 아버지 오인세(83)씨를 만나 오랜 한을 풀었다. 2살 때 아버지가 행방불명된 남측 이정숙(여·68)씨도 북측에 있는 아버지 리흥종(88)씨와 재회했다. 눈물 젖은 대화라도 가능한 가족들은 다행스러웠다. 이미 초고령자가 많은 만큼 상봉장 여기저기서 휠체어를 탄 모습의 가족들이 적지 않았다.

이날 첫 상봉에는 남측 가족 389명이 북측 가족 141명을 만났다. 가족들은 각 2시간인 단체 상봉과 환영 만찬에서 만남의 기쁨을 누린 뒤 첫날 행사를 마무리했다. 둘째 날인 21일에는 개별 상봉, 공동 중식, 단체 상봉이 진행된다. 1회차 상봉행사는 22일까지 진행되며 이 기간 동안 가족들은 총 6차례, 12시간 동안 만난다. 24~26일 진행되는 2회차 상봉에서는 남측 가족 255명과 북측 가족 188명이 상봉한다.

금강산 공동취재단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5-10-21 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