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상봉> “통일되면 만나자”…이민 간 동생들에 영상편지

<이산상봉> “통일되면 만나자”…이민 간 동생들에 영상편지

입력 2015-10-21 16:14
업데이트 2015-10-21 16: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측의 남순옥(80) 할머니는 제2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통해 꿈에 그리던 북측의 언니 남철순(82) 할머니를 만났다.

대전이 고향인 이들은 한국전쟁 때 철순 할머니가 학교 간다고 나간 뒤 돌아오지 않아 이산가족이 됐다.

철순 할머니는 21일 금강산호텔에서 열린 공동오찬 행사에서 “의용군에 잡혀가 혼자 북에서 살아왔다”고 털어놨다.

순옥 할머니는 “어제는 조금 어색하고 그랬는데, 오늘은 방에서 웃고 떠들고 더 편하게 얘기했다”며 소감을 말했다.

하지만, 4남매 가운데 춘자·완효씨는 지난 1985년 브라질로 이민을 가는 바람에 이번 상봉행사에 참가하지 못했다.

순옥 할머니는 “다들 더 많이 같이 왔었어야 하는데, 갑자기 연락이 오고 여기가 너무 멀어서 못왔다”고 말했다.

그러자 철순 할머니는 “멀리 살고 있는 두 동생에게 내 얼굴을 보여주고 싶다”고 동생에게 간곡하게 요청했다.

이에 순옥 할머니는 브라질에 있는 동생들에게 영상편지를 전달하는 것으로 맏언니가 직접 만나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랠 수 있도록 했다.

철순 할머니는 영상편지에서 동생들을 향해 “나는 잘살고 있고 통일이 되면 꼭 다시 만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남측 조카 양옥희(59) 씨를 만난 북측 삼촌 량만룡(83) 할아버지도 조카들한테 ‘가족끼리 친절하게 잘 살아라’, ‘잘 왕래하면서 살아라’ 등의 글을 적어 하나씩 전달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