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상봉> 상봉 이틀째…한층 가까워진 혈육

<이산상봉> 상봉 이틀째…한층 가까워진 혈육

입력 2015-10-21 14:17
업데이트 2015-10-21 14: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혈육의 온기를 향한 본능적인 이끌림에 60여 년간 켜켜이 쌓인 차가운 세월도 설 자리를 잃었다.

제20차 남북 이산가족 상봉 이틀째인 21일 감격스런 만남을 이어간 가족들은 첫날보다 한층 서로가 편안해진 표정이었다

이날 오전 9시30분(북한 시간 9시) 금강산호텔에서 2시간 동안 비공개로 진행된 개별상봉에서 가족들은 그동안 나누지 못한 애틋한 정을 나눴다.

가족별로 비공개로 진행된데다 이미 전날의 단체상봉, 환영만찬에서 격한 감정을 쏟아내서인지 가족들은 한결 어색함을 덜어내고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이었다.

북측 량만룡(83)씨의 조카 양영례(67)씨는 개별상봉이 끝난 뒤 “오늘 또 보니까 더 가까워진 것 같아요. 마음을 여니까”라며 환한 미소를 지었다.

가족들은 량씨가 조카들에게 짧은 글을 하나씩 건넸다며 “’가족끼리 친절하게 잘 살아라. 잘 왕래하며 살아라’ 등의 내용이었다”고 소개했다.

북측 도흥규(85)씨 외조카 윤인수(59)씨는 개별상봉이 끝나고 “어제는 감정이 북받쳐서 말을 잘 못했는데 오늘은 사근사근 잘 얘기하셨다”고 가족의 변화를 짚기도 했다.

북측 남철순(80)씨 여동생 순옥씨도 “어제는 조금 어색하고 그랬는데 오늘은 방에서 웃고 떠들고 조금 편하게 얘기했다”고 돌아봤다.

가족들은 한편으로는 헤어진 세월에 비하면 티끌과 같을 2시간씩 이어지는 ‘징검다리’ 상봉이 감질나는 듯 짙은 아쉬움도 감추지 못했다.

도흥규씨 조카 이민희(54)씨는 “개별상봉이 2시간밖에 없어 너무 아쉽다”며 “(1시간 뒤 공동중식이면) 그냥 여기 나와서 단풍나무 앞에서 사진도 찍고 같이 점심 먹으러 가면 좋겠다. 이렇게 다시 헤어졌다 봐야 하는 게 아쉽다”고 말했다.

가족들은 개별상봉을 마친 북측 가족들이 버스를 타고 멀어지는 모습을 보면서 “몇 분 뒤면 밥 먹으러 올 걸 왜 저렇게 버스에 태워 가는지...”라고 안타까워했다.

개별상봉을 마친 이산가족은 이날 낮 12시30분부터 금강산호텔에서 함께 식사를 하고 오후 4시30분에는 이산가족면회소에서 다시 단체상봉을 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