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어쩌면 당신도 惡人일지 모른다

어쩌면 당신도 惡人일지 모른다

김성호 기자
입력 2015-08-07 23:48
업데이트 2015-08-08 0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영화 다크나이트
영화 다크나이트
잔혹함에 대하여/애덤 모턴 지음/변진경 옮김/돌베개/236쪽/1만 2000원


‘나치의 홀로코스트’, ‘크메르루주 대학살’, ‘9·11테러’…. 인류사는 ‘악’이라는 이름의 잔혹 행위로 얼룩졌고, 그 악의 순환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왜 인간은 잔혹 행위를 멈추지 않는 것일까.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명예교수가 그 잔혹 행위의 근본을 파고들었다. 저자는 ‘잔혹함에 대하여’에서 악의 개념을 파헤치거나 설명하려 들지 않는다. 대신 ‘악에 대한 성찰’이라는 부제 그대로 인간의 잔혹 행위를 존재하게 하는 바탕을 꼬집는다. 무엇보다 잔혹 행위가 비정상적이거나 문제 있는 특정 부류에 의해 저질러진다는 통념을 뒤집는다. 누구나 악의 주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악의 순환 고리를 끊기 위해 뭘 할 것인지를 파고든다.

저자는 2000년이 넘는 동서양 철학사에서 ‘악의 통찰’은 없었다고 잘라 말한다. 왜 잔혹 행위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없었다는 것이다. 합리적 이성을 지닌 인간이 잘못을 저지르는 경향을 따진 칸트만 하더라도 주 관심사는 ‘거짓말 같은 비합리적 행위’였다. 철학은 대개 거짓말을 인간이 저지르는 잘못(악)으로 여겨 진지하고 심오한 주제로 다뤘다는 것이다. 왜 철학 같은 인문학에서 ‘악의 성찰’이 없었을까. 저자는 그 원인을 이렇게 말한다. “악을 상상하는 일 자체가 악에 다가가고 악행자의 심리에 동일화되는 끔찍한 경험으로 여긴다.” 그 결과 악행은 일상생활과 무관한 데서 벌어지고 악인은 평범하지 않은 종류의 사람이라는 생각이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악과 악인이 어딘가 존재한다는 생각을 잔혹 행위자도 똑같이 한다는 것이다. 솔제니친의 소설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에서 수용소 감시원들이 수감자들을 사회적 악으로 여긴 게 대표적인 경우다.

그렇다면 인간은 어떻게 악을 저지르는 것일까. 저자는 평범한 사람이 악한 행동을 저지르는 이유를 명쾌하게 제시한다. 사람은 타인에게 고통을 가하지 못하게 막는 내적 장벽을 갖고 있는데 이 내적 장벽을 처음부터 갖지 못한 소시오패스나, 이 장벽을 넘어서는 법을 학습한 사람, 문화적·개인적으로 장벽을 넘어서게 하는 신념을 형성한 사람이 악행을 저지르게 된다는 것이다.
르완다의 투치족 학살 피해자 묘지. 1994년 4월부터 7월까지 100여일 동안 후투족이 투치족을 무차별 학살한 인종 학살 사건에서 인구의 10퍼센트인 80만~100만명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돌베개 제공
르완다의 투치족 학살 피해자 묘지. 1994년 4월부터 7월까지 100여일 동안 후투족이 투치족을 무차별 학살한 인종 학살 사건에서 인구의 10퍼센트인 80만~100만명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
돌베개 제공


책에서 주목할 부분은 ‘악’과 ‘나쁜 짓’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이다. 1945년 히로시마·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 명령을 내린 해리 트루먼과 1997∼1999년 보스니아와 코소보에서 ‘인종청소’를 기획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를 비교해 보자. 트루먼의 결정은 미국이 일본 영토를 직접 침공했다면 미국인 희생이 막대했으리라는 이유에서 옹호됐다. 하지만 일본인 피해자를 최소화하는 게 선(善)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의 행동을 거대한 악 대신 엄청난 실수로 본다. 그에 비해 밀로셰비치는 무슬림을 계획적으로 살해했다는 점에서 악하다고 말한다. 트루먼보다 밀로셰비치와 그의 행동이 더 악하게 보이는 것처럼 더 나쁘지만 덜 악한 행동이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악이 저질러지는 상황을 주목한다. 현대의 국민 국가는 타국 국민들을 책임지지 않기 때문에 국가의 소시오패스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위르겐 하버마스나 울리히 베크가 최근 유로 경제 위기에 대한 독일의 대응을 놓고 2차 세계대전 직전 상황에 비교해 우려하는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고 한다.

저자는 그래서 잔혹한 행동을 악이라고 단정하고 비난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그 행동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올바른 대처 방법을 찾는 게 중요하다고 거듭 말한다. “악행에 대해 보복이나 단죄에 앞서 무엇보다 진실의 추구가 우선해야 한다.그 과정은 악행에 차분히 귀를 기울이는 힘겨운 과정을 요구한다. 고통스럽더라도 이런 과정을 통해 진실을 추구할 경우에 악의 실체를 밝혀내고 미래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릴 수 있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5-08-08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