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 “지금은 환자 곁 지키지만, 전공의 다치면 대응”

의대 교수들 “지금은 환자 곁 지키지만, 전공의 다치면 대응”

유승혁 기자
유승혁 기자
입력 2024-05-24 15:37
업데이트 2024-05-24 15: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
“무리한 의대 증원에 전공의 못 돌아와”
“전공의 면허정지 내리면 교수들 대응”
“올해 의대 증원 멈춰달라” 거듭 호소

이미지 확대
27년 만의 의과대학 증원을 확정하는 대입 전형위원회가 열리는 24일 오후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이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내 울산대 의대에서 열린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27년 만의 의과대학 증원을 확정하는 대입 전형위원회가 열리는 24일 오후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이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내 울산대 의대에서 열린 입장 발표 기자회견에서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교수들은 정부가 의대 증원 정책을 무리하게 추진한 탓에 전공의들이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의대 증원이 최종 확정될 때까지 단체 행동을 자제하고 환자 곁을 지키겠다면서도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에게 면허 정지 등 행정처분이 내려질 경우 강경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장은 24일 서울 송파구 울산대의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전공의에 대해서 각종 명령을 철회하지 않고 사직서도 수리하지 않고 있다. 정부 태도에 변화가 없으니 전공의와 학생들은 의료 현장에 돌아올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최 비대위원장은 “의대 정원 배분 과정을 봤을 때 제대로 된 의학 실력을 갖춘 의사를 양성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다. 정부는 올해 4월 초에서야 인력과 시설, 기자재 등 교육 여건을 조사했다”면서 “정부가 주장하는 대로 오랜 기간 준비한 의대 증원이라면 최소 1년 전부터 대학의 인력과 시설, 기자재에 대한 충분한 실사를 통해 교육여건을 확인하는 게 먼저였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국의 지역 의료와 필수의료 붕괴가 당장 진행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의대 정원 증원을 완수하고 의사 집단을 찍어 누르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불합리하고 위험한 정책을 남발하고 있다”며 “학생들을 각종 편법으로 유급하지 못하게 하는 정책은 옳지 않다. 지금이라도 학생들이 휴학할 수 있도록 인정하라”고 촉구했다.

최 비대위원장은 아직 의대 증원 절차가 확정되지 않은 만큼 희망을 품고 의료현장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의대 정원 확정안을 발표할 때까지 교수들은 희망을 갖고 진료를 계속하겠다. 당장 환자에게 피해가 갈 일을 할 이유가 없다”면서도 “정부가 갑자기 전공의들의 의사 면허를 정지하면 상황은 달라진다. 이전에 논의한 것을 진행할 수밖에 없고 정부가 그런 상황을 만들지 않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강조했다.

앞서 19개 의대가 참여하는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는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입학정원을 확정할 경우 일주일간 집단 휴진을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최 비대위원장은 “일단 올해는 의대 증원을 멈춰달라는 게 전의비와 의대생, 전공의들의 공통된 요구사항”이라며 “정부는 언론을 통해 언제든 대화할 수 있다고 하지만, 아무것도 철회하지 않으면서 압박 수위를 강화하는 상황에서는 전공의들이 나설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의대 증원을 철회할 수 없다는) 강력한 조건을 달면서 의료계에는 조건 없이 대화하자고 하니까 협상이 되지 않는다”면서 “정부와 함께 의료개혁 방향에 대해 논의할 생각이 있고 의대 증원도 내년에 다시 논의하자고 하면 함께 논의할 의지가 있으니 젊은 의사와 학생의 미래를 위해 멈춰달라”고 호소했다.
유승혁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