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절주·걷기 실천’ 성인 30%뿐

‘금연·절주·걷기 실천’ 성인 30%뿐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04-07 23:54
업데이트 2015-04-08 03: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40대 ‘건강생활’ 가장 낮아, 비만율은 7년 새 3.7%P 늘어나

‘금연·저위험 음주·걷기’ 등 3가지 건강생활을 모두 실천하는 국민이 3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40대의 건강생활 실천율은 전체 연령층 가운데 가장 낮고,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자 3명 중 1명은 여전히 담배를 피우는 등 건강관리가 엉망이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8~10월 전국 254개 시·군·구 22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현재 담배를 피우는 남성은 2008년 49.2%에서 2014년 45.3%로 조금 줄었지만, 같은 기간 술을 마시는 사람은 오히려 늘고, 하루 30분 이상 주 5일 걷기 운동을 하는 사람은 지속적으로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특히 최근 1년 동안 한 달에 1회 이상 음주한 사람의 비율인 ‘월간 음주율’은 2008년 54.1%에서 계속 증가해 지난해 최고치인 60.8%를 기록했다. 한 번의 술자리에서 소주 7잔(남성 기준, 여성은 5잔) 이상을 주 2회 이상 마시는 고위험 음주율은 큰 변화 없이 18%대에서 수년간 정체된 상태다.

술을 처음 마신 음주 시작 연령도 20 08년 21.7세에서 2014년 20.9세로 0.8세 앞당겨졌다.

반면 걷기 실천율은 2008년 50.6%에서 2014년 37.5%로 13% 포인트 이상 뚝 떨어졌다. 게다가 현재 흡연자는 고위험 음주, 신체 활동 부족, 스트레스 등의 문제를 함께 갖고 있었다.

건강관리를 이렇게 하다 보니 전체 비만율은 2008년 21.6%에서 2014년 25.3%로 증가했다.

건강생활 3가지를 모두 실천한다고 응답한 국민은 2008년 35.2%에서 계속 줄어 지난해 29.6%까지 급감했고, 이마저도 30대(23.8%)와 40대(25.0%)는 20%대에 머물렀다. 지역별로도 건강생활 실천율이 크게 차이 났다. 서울(39.2%)·대전(34.5%)·인천(33.6%) 등 대도시는 실천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제주(21.3%)·경남(21.5%)·경북(22.2%)은 이 도시들보다 실천율이 10% 포인트 이상 낮았다.

남성 흡연율은 서울(39.6%)과 대전(41.0%)이 가장 낮고, 강원(47.8%)과 충북(46.6%)이 제일 높았다. 고위험 음주율은 대구(15.9%)와 광주(16.0%)가 가장 낮고, 충북(21.7%)과 강원(21.1%)이 가장 높았다. 또 걷기 실천율은 서울(55.4%)과 인천(51.2%)이 높은 반면, 경남(31.2%)과 제주(32.3%)는 낮았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4-08 1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