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소산화물 배출 주범 시멘트업계 저감 동참

질소산화물 배출 주범 시멘트업계 저감 동참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6-09 16:08
업데이트 2020-06-09 16: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효율 시설 적용시 연간 4만t 배출량 감소

초미세먼지 주요 생성물질인 질소산화물 다량 배출 업종인 시멘트업계가 저감 노력에 동참한다.

환경부는 10일 강원 동해 쌍용양회 동해공장에서 9개 시멘트 제조사와 대기환경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시멘트 질소산화물 저감 협의체’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9일 밝혔다. 협의체는 연말까지 시멘트업계 질소산화물 저감 목표와 실행 방안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시멘트 제조업은 초미세먼지(PM2.5) 생성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다량으로 배출하는 업종(6만 2546t)으로, 2019년 조사에서 발전업(6만 8324t)에 이어 2번째다.

현재 설치돼 있는 방지시설은 효율이 40~60% 수준이나 고효율 방지시설로 개선하면 최대 90%까지 올릴 수 있다. 그러나 현장의 공간 문제와 타공정 간섭, 방지시설 운영비 등으로 개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환경부는 시멘트 사업장의 질소산화물 배출량 저감을 위해 업계 및 관련 전문가와 현장 조사와 논의를 거쳐 고효율 방지시설 설치, 제조 공정 개선 등의 다양한 기술적 해법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개선방안에 따른 저감 목표를 설정하고, 사업장별 세부 투자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연구개발 사업 외 대규모 시설 개선에 투자되는 비용을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최적의 질소산화물 저감기술이 현장에 적용돼 시멘트 업계의 배출농도가 배출 부과금 부과기준 이하로 낮아지면 전체 질소산화물 배출량이 연간 약 4만t 이상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금한승 환경부 대기환경정책관은 “협력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시멘트 외 다른 업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협의체에서 마련하는 대책이 실질적인 시설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