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교진 세종교육감 “현 교육청 특수교육센터로 활용”

최교진 세종교육감 “현 교육청 특수교육센터로 활용”

입력 2014-10-06 00:00
업데이트 2014-10-06 09: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부터 모든 학교 학생 수 25명으로 맞출 것”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5일 “신청사 이전으로 비게 될 현 교육청사는 특수교육지원센터나 Wee센터(아람센터)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인터뷰하는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인터뷰하는 최교진 세종시교육감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이 6일 연합뉴스와 취임 100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세종시교육청
최 교육감은 취임 100일을 맞아 연합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교육청이 연말까지 강남권인 보람동 신청사로 이전을 마치고 새해 업무를 시작하게 된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이어 “장기적으로는 세종시 이전 중앙행정기관 및 연구기관 등과 연계한 시설로 활용하거나 학부모 교육기관 및 교원 연수기관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신도시(행정중심복합도시)와 읍면지역 교육격차 해소 방안에 대해 “세종시 출범 당시보다 많이 좁혀졌지만 학급당 학생 수 격차는 여전하다”며 “내년부터 모든 학교의 학급당 학생 수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상위수준에 근접한 25명으로 맞추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중점을 두고 추진할 사업에 대해 “가르침 중심에서 벗어나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배움 중심의 새로운 교육체제를 만들기 위해 학교혁신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내년에 4개 학교를 혁신학교로 지정, 운영하는 것을 시작으로 전체 학교의 10% 내외 수준으로 혁신학교가 운영되도록 대상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9시 등교에 대해선 “아이들이 아침밥을 먹고 등교할 수 있는 만큼 건강권 보장 차원에서 바람직한 정책”이라며 찬성 입장을 밝혔다.

자사고와 자공고 폐지에 대해선 “아이들이 성적으로 등급이 매겨지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라며 찬성 입장을 밝히면서 “과학고와 외국어고 등 특목고는 입시 위주 교육을 지양하고 학교 설립 목적과 건학이념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감 직선제에 대해서도 “임명제 교육감은 학부모나 학생을 주목하기보다는 임명권자 눈치 보기에 급급했던 게 사실”이라며 “교육부장관이 임명하는 교육감 시대로 다시 돌아갈 수는 없다”고 못박았다.

지방교육재정난 해소 방안에 대해선 “전체적인 업무와 사업을 진단, 경상경비와 불요불급한 사업 억제 등 긴축 예산편성을 고려하고 있다”며 “교육부의 지방채 발행 대상을 현재의 학교 신설에서 교육환경 개선으로 확대하도록 요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최 교육감은 신도시의 학교 부족 문제에 대해 “1생활권 입주자와 2·3생활권 아파트 계약자를 대상으로 조사해 정확한 학생 수요를 예측한 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및 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협의해 24∼36학급 규모의 학교를 적기에 신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