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창원 해역 해양오염 유출량, 전년보다 89% 줄어

지난해 창원 해역 해양오염 유출량, 전년보다 89% 줄어

이창언 기자
이창언 기자
입력 2025-01-24 15:54
수정 2025-01-24 15: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해양오염사고 8건 발생·오염물질 827.9ℓ 유출
전년보다 사고 건수 38%, 유출량 89% 감소해

이미지 확대
창원해경이 오일펜스를 이용해 방제작업을 하고 있다. 2025.1.24. 창원해양경찰서 제공
창원해경이 오일펜스를 이용해 방제작업을 하고 있다. 2025.1.24. 창원해양경찰서 제공


지난해 경남 창원 해역 해양오염 유출량이 전년보다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해양경찰서는 24일 ‘2024년 해양오염사고 통계분석 결과’를 내놓으며 지난해 창원 해역에서는 해양오염사고 8건이 발생했고 오염물질 827.9ℓ(리터)가 유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보다 사고 건수는 38%, 유출량은 89% 준 수치다. 2023년 창원 해역 해양사고는 13건, 유출량은 7683.8ℓ였다.

해경은 해양오염 감소 이유로 고위험 선박 중점 선제적 예방관리와 파공부·에어벤트 봉쇄, 유류이적 등 신속한 배출 방지 조치를 꼽았다.

해경은 지난해 해양오염사고 유형도 분석했다. 해역별 발생 건수는 부산신항 3건, 거제북부 2건, 마산항·진해항·진해만 각 1건이었다. 사고 원인으로는 밸브 조작 등 부주의에 의한 사고 3건, 기기 파손 3건, 침수 등 해난에 의한 사고 2건이었다.

창원해양경찰서 관계자는 “관계기관과 협력을 강화해 복합해양사고 현장 대응력을 더 키우겠다”며 “취약요소·위험해역별 예방 활동으로 오염 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상속세 개편안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상속되는 재산에 세금을 매기는 유산세 방식이 75년 만에 수술대에 오른다. 피상속인(사망자)이 물려주는 총재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배우자·자녀)이 각각 물려받는 재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유산취득세)이 추진된다. 지금은 서울의 10억원대 아파트를 물려받을 때도 상속세를 내야 하지만, 앞으로는 20억원까진 상속세가 면제될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속세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동의한다.
동의 못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