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등 4개사 신규 진입
100위권 기업은 4년째 전무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부산상의 제공
전국 기업 중에서 지난해 매출 규모가 1000위 안인 부산 기업이 31개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상공회의소는 27일 ‘2023년 매출액 기준 전국 1000대 기업 중 부산기업 현황’을 발표했다. 신용평가사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등의 기업정보를 분석한 결과다.조사 결과를 보면 매출 1000위 안에 든 부산 기업은 모두 31개사로, 전년보다 3개사 늘었다. 지역 매출 1위 기업은 BNK부산은행이 르노코리아㈜를 밀어내고 차지했다. 르노코리아는 한진중공업(현 HJ중공업)에 매출 1위 자리를 내줬던 2008년 이후 15년 만에 2위로 밀려났다.
BNK부산은행은 여신 상품 확대와 리스크 관리 강화로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부산상의는 분석했다. 전국 순위는 111위로, 전년보다 38계단 상승했다. 르노코리아는 주력 차종의 내수 감소, 수출 둔화로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전국 순위는 112위에서 156위로 내려 앉았다.
올해 매출 1000대 기업에 새로 진입한 부산기업은 저비용 항공사(LCC)인 에어부산㈜, 조선기자재 기업 동성화인텍, 극동건설㈜, 자동차 부품 업체 카이엠㈜ 등 4개사다.
특히 에어부산은 2022년보다 매출이 119.9% 증가하면서 전국 순위가 1202위에서 571위로 무려 631계단 올랐다. ‘엔데믹’에 따른 항공 수요 증가로 국제선 운송 부문 매출 485.9%나 상승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에어부산이 진에어에 흡수·합병될 경우 매출 1000대 기업에 들어간 지역 핵심 기업을 잃게될 수 있다는 점을 부산상의는 우려했다.
1000대 기업 내 부산 기업의 순위 변동을 보면 19개사는 순위가 상승했고 12개사는 하락했다. 순위 상상이 눈에 띄는 기업은 ㈜동원개발(832위→682위), SNT모티브㈜(520위→450위) ㈜HJ중공업(305위→240위) 등이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전국 매출 100위 안에 든 부산 기업은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르노코리아가 2000년 100위권에서 탈락한 이후, 4년 동안 부산에 100위권 기업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매출 100위권의 88%가 수도권 기업이었다. 또 1000위권에 입성한 부산 기업이 3곳 늘었지만, 2022년 대비 전체 매출 증가율은 0.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상공회의소 관계자는 “고물가·고금리, 내수부진 등 불투명한 경영환경 속에서 지역 기업들이 약진한 것은 긍정적이지만, 부산경제의 위상에 비해서는 여전히 매출 1000위권에 진입한 지역 기업 수가 부족하다”면서 “지자체는 사업재편을 통해 부가가치 창출을 확대하려는 지역 기업에 대한 정책지원, 인센티브 확대 등 기업 육성 전략을 시급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