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 빚 ‘역대 최대’”…89%가 ‘대출’ 있어

“신혼부부 빚 ‘역대 최대’”…89%가 ‘대출’ 있어

김채현 기자
김채현 기자
입력 2023-12-11 14:14
업데이트 2023-12-11 15: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혼부부 103.2만쌍 ‘역대 최저’
소득 6.1% 늘었지만 빚 7.3% 늘어
대출잔액 평균 1억 6417만원

이미지 확대
결혼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결혼 자료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를 한 신혼부부 수가 역대 최저치를 또 한 번 갈아치웠다. 또 이들의 연간 평균 소득은 전년도보다 6.1% 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절반 이상이 맞벌이 부부인 것으로 조사 됐으며, 이들 10명 9명은 금융권에 대출 잔액이 있었다.

통계청이 11일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신혼부부 수는 103만 2000쌍으로 전년 대비 6.3%(6만 9000쌍) 감소했다. 이는 2015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현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는 연간 100만쌍을 밑돌 가능성이 크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29.9%(30만 8634쌍)를 차지해 신혼부부 수가 가장 많았고, 서울 17.8%(18만 4804쌍), 인천 6.1%(6만 2844쌍), 경남 5.8%(5만 9601쌍), 부산 5.6%(5만 8215쌍) 등 순이었다.

초혼인 1~5년차 신혼부부 81만 5000쌍의 평균 자녀 수는 0.65명이었다.

평균 자녀 수 역시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연도별로는 2018년 0.74명, 2019년 0.71명, 2020년 0.68명, 2021년 0.66명 등이었다.

혼인 연차별로는 평균 자녀 수는 1년차 0.21명, 2년차 0.42명, 3년차 0.63명, 4년차 0.83명, 5년차 1.01명이었다. 특히 혼인 3년차부터 ‘자녀 있음’ 비중이 55.8%로, ‘자녀 없음’(44.2%)을 앞섰다.
이미지 확대
한국의 결혼식 장면(이 기사와 직접 관련 없습니다). 연합뉴스
한국의 결혼식 장면(이 기사와 직접 관련 없습니다). 연합뉴스
“신혼부부 소득 6.1% 늘었지만 빚 7.3% 늘어”
초혼 신혼부부 중 절반 이상은 맞벌이를 했다. 초혼 신혼부부 맞벌이 부부 비중은 57.2%로 전년보다 2.3% 포인트 높아졌다.

혼인 1년차의 맞벌이 비중이 61.7%로 가장 높고, 혼인연차가 높아질수록 맞벌이 비중이 낮아졌다.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소득(근로·사업소득)은 6790만원으로 전년보다 6.1% 포인트 증가했다.

맞벌이 부부의 평균소득은 8433만원으로 외벌이(4994만원)에 비해 1.7배 높았다.

연차별로는 맞벌이 비중이 높은 혼인 1년차 부부(6950만원)의 평균소득이 가장 높고, 2년차 부부(6668만원)의 평균소득이 가장 낮았다.
이미지 확대
2023.10.29 연합뉴스
2023.10.29 연합뉴스
“신혼부부 빚 ‘역대최대’”…89.0%가 ‘대출잔액’ 있어
초혼 신혼부부 중 대출잔액이 있는 부부 비중은 89.0%에 달했다.

금융권에서 대출을 받은 초혼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 6417만원으로 전년(1억 5300만원)보다 7.3% 증가했다.

대출 규모는 맞벌이 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이 1억 8361만원으로, 외벌이 부부(1억 4440만원)보다 약 1.3배 컸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 9313만원으로 무주택 부부(1억 4233만원)보다 약 1.4배 높았다.

초혼 신혼부부 중 주택 소유 비중은 절반이 되지 않았다. 초혼 신혼부부 중 1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신혼부부는 40.5%로 전년보다 1.5% 포인트 하락했다.

다만 혼인 5년차에는 주택소유(50.6%) 비중이 무주택(49.4%)보다 높아졌다.

맞벌이는 자녀 여부에도 변수로 작용했다. 맞벌이 부부 가운데 유자녀 비중은 49.8%로 외벌이 부부(59.4%)보다 9.6% 포인트 낮았다.

평균 자녀 수에서도 맞벌이 부부는 0.59명으로 외벌이 부부(0.73명)보다 0.14명 적었다.
김채현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