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복결핵감염 치료 안하면 발생률 5.7배 증가

잠복결핵감염 치료 안하면 발생률 5.7배 증가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1-04-14 13:35
업데이트 2021-04-14 1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몸속에 결핵균이 존재하지만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은 잠복결핵감염자 중 치료받지 않은 사람의 결핵 발생률이 치료한 사람보다 5.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14일 2017~2019년도에 실시된 집단시설 종사자 대상 국가 잠복결핵감염 검진 사업의 중기 효과를 발표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잠복결핵감염자 중 미 치료자의 결핵 발생률(10만명당 172.3건)은 치료한 사람(30.1건)보다 5.7배 높았고, 잠복결핵감염 음성자(10.3건)에 비하면 17.2배 높았다. 질병청 관계자는 “이 같은 결과는 잠복결핵감염 양성자가 잠복결핵 치료를 완료하면 약 83%의 결핵 예방 효과가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치료를 시작하지 않은 사례는 남성, 고령 및 대도시 거주에서 높았으며, 젊은 연령층 및 동반질환이 많은 경우 치료 중단 사례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치료요법 중(9개월, 4개월, 3개월) 중 단기 치료로 시작한 경우 치료 완료율이 높은 반면 치료 효과는 떨어지지 않아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내 잠복결핵감염 치료가 이뤄질 수 있다. 가까운 의료기관 또는 전국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고, 잠복결핵감염 치료비는 국가가 부담한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잠복결핵감염의 진단과 치료는 결핵 퇴치의 핵심이며, 잠복결핵감염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높고 감염 확인 후 1년 이내 결핵발병률이 높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잠복결핵감염을 진단받은 사람은 빠른 시일 내 가까운 잠복결핵감염 치료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을 것”을 권고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